-
-
KOTRA 마켓 트렌드 2014 : 세계경제를 주도하는 신흥시장의 진출 전략
발행연도 - 2013 / KOTRA 지음 / 청림
-
도서관
청라호수도서관
-
자료실
[청라호수]보존서고1 (일반도서)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CL0000007842
-
ISBN
9788935209927
-
형태
275 p. 23 cm
-
한국십진분류
사회과학
>
경제학
>
경영
-
카테고리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
>
각국정치
책소개
세계경제의 중심축이 선진국에서 신흥국으로 이동하고 있다.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국들이 글로벌 금융위기와 재정위기로 부진한 모습을 보이는 동안 중국을 비롯한 신흥국들은 고속 성장을 구가하며 선진국을 발 빠르게 추격하고 있기 때문이다.
목차
머리말 새로운 부의 기회가 될 황금시장에 주목하라
1. 신흥 황금시장을 주도하는 트렌드
시장 다변화 전략과 떠오르는 거대 신흥시장
신흥시장을 주도하는 9가지 트렌드
2. 인도: 세계경제를 이끌 새로운 성장 엔진
가족에서 젊음으로 소비 트렌드 변화
라이선스라지, 규제왕국 리스크
여성의 사회 진출 증가
사회적 약자에서 소비의 주도층으로
슈퍼리치 확대로 명품 수요 급증
외모 및 성형에 대한 관심 증가
지방의 소비가 도시 소비를 능가하다
사회공헌활동을 통한 지방 시장 공략
노령 인구와 중산층 증가로 성장하는 의료시장
외식 프랜차이즈 시장 전망 밝아
에너지 소비 증가로 신재생에너지 개발 주력
친환경 정책에 힘입은 녹색산업 성장
현지 파트너와 합작투자를 통한 스타벅스 전략
3. 베트남: 재도약하는 동남아 신흥시장 강국
품질을 중시하는 고급 시장으로 변화
한국산 제품에 대한 관심과 수요 높아져
베트남 지하경제의 큰손 비엣큐
베트남 부자들의 큰 씀씀이와 명품시장
얼리어답터 줄고 실속형 구매 늘어
확대되는 남성용 뷰티케어시장
재래시장 대체하는 대형 슈퍼마켓
전통적 유통채널에서 현대식 유통채널로
맞벌이 증가와 보편화된 외식문화
한류 영향으로 한국 음식 인기
사회공헌 활동으로 성장한 유제품 기업 비나밀크
4. 사우디아라비아: 오일머니를 기반으로 한 중동 최대 시장
경제성장 견인하는 정부의 재정지출
비만 인구 증가와 의료 관련 수요 확대
포스트오일 시대 이끌 소매시장 성장세
수입 의존도 높아 가격에 매우 민감한 시장
니캅 속에 가려진 미에 대한 관심
서구 문화 유입으로 여성의 소비 왕성
강력한 펀더멘털 갖춘 소매시장
레저로 자리 잡은 쇼핑과 성지 순례 소비
자연환경과 이슬람 문화가 반영된 시장
사우디아라비아 볼륨존 겨냥한 이케아
5. 인도네시아: 풍부한 천연자원과 부상하는 내수시장
풍부한 천연자원과 자원 의존적 경제구조의 한계
오토바이 판매 줄고 자동차 판매 늘어
저축보다 소비를 즐기는 성향 강해
두터워지는 중산층 늘어나는 소비시장
중산층의 새로운 사교 공간으로 떠오른 편의점
인터넷 이용 증가로 전자상거래 확산
외모 가꾸기 열풍과 과시성 소비 증가
외국계 프랜차이즈 선호도 높아
외자 유치를 통한 인프라 개선 사업에 주력
금융위기 딛고 글로벌 브랜드로 우뚝 선 카완라마
6. 멕시코: 생산기지로 재조명받는 제2의 세계 공장
멕시코 제조업 경쟁력이 주목받는 이유
중산층 증가와 소비 패턴 변화
노령화로 기회를 맞는 헬스케어 산업
재래시장 대체하는 새로운 유통망 등장
외식·의약·건강 산업 유망
중저가 시장 공략으로 성공한 생활용품 기업 라코로나
7. 폴란드: 유럽 시장 진입의 새로운 거점
유럽 시장 공략을 위한 전자제품 생산기지
유럽에서 기업환경이 가장 좋은 국가 유럽 생산 거점으로서의 지정학적 매력
부유층의 지속적인 증가와 성장하는 명품시장
1인 가구 증가로 마케팅 키워드가 된 싱글족
동유럽 최대 컨슈머 헬스케어 시장
글로벌 기업의 각축장 인프라 시장
초고속 인터넷망 구축 사업 박차
믿음과 책임 경영으로 소비자와 소통하는 기업 드루텍스
8. 브라질: 거대 내수시장 갖춘 세계 최대 인프라 투자국
내수시장 겨냥한 외국인직접투자 쇄도
제조업 경쟁력 확보 위한 외국 기업과의 기술 제휴
경제성장의 걸림돌 브라질코스트
유통 산업 블루오션이 된 도시 빈민층 거주 지역
브라질코스트 극복 위한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 추진
브라질 천연 화장품 시장의 강자 나투라
9. 남아프리카공화국: 아프리카 경제 주도하는 최대 시장
아프리카 시장 진출 교두보
블랙다이아몬드, 흑인 중산층의 부상
제조업 기반과 금융시장 갖춘 선진국형 산업구조
높은 질병 발병률로 의료시장 증가 추세
사회간접자본 개선 사업 활발
까다로운 중산층 입맛 사로잡은 프로즌 요거트 와카베리
10. 터키: 유럽과 아시아, 중동을 연결하는 신흥 경제 강국
유럽의 공장에서 아시아 국가의 진출처로
한국과 상호 보완적인 터키의 산업구조
교육을 통해 부를 대물림하는 터키 상류층
저렴한 비용과 질 높은 의료가 결합된 의료관광 산업
에너지 수입 의존도 높아 대체 에너지 개발 시급
산업 인프라 강점 가로막는 관료주의적 관행
명품 쇼핑의 바다를 지향하는 온라인 업체 마카포니
11. 러시아: 세계 경기 침체에도 굳건한 에너지 자원 강국
자원의존도 줄이고 제조업 경쟁력 높이고
소매시장 주도하는 대형 유통업체
외국 식생활에 대한 관심 증가와 비식료품 판매 확대
외국 요식업체 중심의 프랜차이즈 시장
프랜차이즈 시장 미개척지 시베리아
에너지 의존형 경제구조 개선과 그린에너지 전략
정부가 주도하는 폐쇄적 프로젝트 시장
지방 도시 공략에 성공한 러시아 유통거인 마그니트
12. 필리핀: 아시아의 빈국에서 부상하는 유망 시장으로
아키노 신정부의 강력한 경제개혁
해외근로자 송금에 의존하는 소비경제구조
신재생에너지 개발 잠재력 풍부
국가적 과제로 떠오른 인프라 개선 사업
신발가게로 시작한 필리핀 유통 대기업 SM그룹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1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1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