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손잡지 않고 살아남은 생명은 없다 : 더불어 살아가기 위한 생명 이야기
발행연도 - 2014 / 지음: 최재천 ; , / 샘터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346398
-
ISBN
9788946418868
-
형태
158 p. 20 cm
-
한국십진분류
자연과학
>
생명과학
>
생물학
-
카테고리분류
인문
>
인문학 일반
>
교양 인문학
책소개
인문교양 시리즈 '아우름' 1권. 최재천 교수가 좌우명처럼 입에 달고 다니는 말이 있다. ‘알면 사랑한다.’ 사인을 할 때도 이 글귀를 적는 것을 잊지 않는다. 그는 사람들이 생명에 대해 잘 모르기 때문에 이용만 하고 유린하며 산다고 생각한다.
목차
여는 글 아름다운 방황을 하라
1장. 알면 사랑하게 된다
생명이란 무엇인가?
생명은 모두 이어져 있다
동물도 생각할 수 있을까?
왜 부모 자식은 닮는 것일까?
행동이 유전한다는 증거
문화는 유전자의 산물이다
유전자 복제, 그 위험성
생각하는 동물의 출현
컴퓨터 잘하는 침팬지 ‘아이’
설명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
2장. 함께 사는 세상을 꿈꾸며
호모 사피엔스에서 호모 심비우스로
나가수와 진화의 법칙
Survival of the Fitter
손잡지 않고 살아남은 생명은 없다
인간은 지구에서 얼마나 더 살 수 있을까
공감의 세대
학문도 만나야 산다
숙제만 하고 출제는 못 하는 대한민국
깊게 파려거든 넓게 파라
수능은 쳐도 수학능력은 없다?
나를 풍요롭게 만들어 준 3년
3장. 생물학자를 꿈꾸는 미래의 후배들에게
21세기는 생물학의 시대
마르지 않는 이야기의 샘
통섭의 길목에 생물학이 있다
통합생물학의 바람이 분다
동물행동학으로의 초대
재미있는 동물의 세계
동물행동학 연구의 어려움
동물행동학의 역사
프리슈의 실험 : 꿀벌은 색을 구별할 수 있나?
틴버겐의 실험 : 타고나는가, 학습되는 것인가
로렌츠의 실험 : 학습하는 행동
4장. 그래도 꿈이 무엇인지 잘 모르겠다면
돌고 돌아 꿈꾸던 길을 찾다
여전히 촌놈이기를 고집하던 서울 소년
고뇌하는 소년 시인
소 뒷걸음질 치다 붙잡은 생물학
“어떻게 하면 당신처럼 살 수 있습니까?”
꿈의 끈을 붙잡고 앞만 보고 달리다
용기 있는 자가 기회를 얻는다
자신이 좋아하는 것 한 가지에 몰두하는 사람
타잔의 나라, 열대에 가다
방황은 젊음의 특권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1 |
20대 | 0 |
30대 | 0 |
40대 | 3 |
50대 | 2 |
60대 | 1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1 |
2017년 | 1 |
2018년 | 0 |
2019년 | 1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1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