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대단지 키드의 눈높이 민주주의를 해부한 책. 4·11 비례대표 경선 사태와 ‘내란 음모’로 세상에 모습을 드러낸 경기동부연합의 뿌리를 1971년 8월 10일 일어난 박정희 정권 시기 최초이자 최대의 도시 빈민 봉기에서 찾는다.
목차
서론. 잃어버린 기억
1장. 뿌리 ― 광주대단지와 1971년 8·10 사건 1. 분리수거 도시 ― 서울 남쪽 동네 광주대단지 2. 아기 삶아먹는 사람들 ― 빈곤과 격리, 그리고 공포의 전유 3. 사건의 발단 ― 분양증 전매 금지와 일시불 상환 조치 4. 8·10 사건 ― 박정희 정권에서 처음 터진 봉기의 기억 광주대단지 사람들 주민 동요와 대책위 결성 8월 10일, 그리고 수습 과정 5. 차별과 배제 ― 8·10 사건이 성남에 남긴 상처들 6. 운동의 본거지, 성남 ― 사회운동의 출현과 성장
2장. 기억 ― 경기동부연합은 누가 주도하고 어떻게 형성됐나 1. 호출 ― 광주와 광주가 만나다 2. 승화 ― 차별과 배제의 기억을 운동의 잠재력으로 3. 계승 ― 1987년 6월 항쟁과 용성총련 4. 또 하나의 기억 ― 경기동부연합 결성과 자주민주통일운동 5. 변주 ― 민족, 민주, 민중 운동에서 시민사회운동으로 6. 전설 ― 두 개의 기억과 두 개의 죽음
3장. 성장 ― 뻐꾸기는 어떻게 지빠귀 둥지를 차지했나 1. 한 지붕 두 가족 ― 진보 정당의 부활과 평등파와 자주파의 동거 창당 정파 당내 민주주의 2. 패권주의에 갇히다 ― 원내 진출과 득세하는 자주파 10개의 금배지 자주파가 부상하고 정책은 보수화되고 3. 종북주의와 패권주의 ― 일심회 사건부터 분당까지 4. 이별과 재결합 ― 분당에서 다시 합당으로
4장. 고립 ― 비례대표 사태와 하위주체 의식 1. 비례대표 사태 ― 4·11 총선과 부정 선거 논란 2. 당권파 ― 부실을 변명하고 절멸을 방어하다 부정과 부실, 국민의 눈높이와 당원의 눈높이 절명의 공포와 극단의 진영 논리 3. 하위주체 ― 스스로 말할 수 없는 사람들 부정성과 당원의 눈높이 공적 폭력과 스스로 말할 수 없는 자 연대성 영토성 4. 세 번째 기억과 죽음 ― 진영 논리 앞에서 허물어진 진보 진영
5장. 연대 ― 범경기동부연합과 지지 세력 1. ‘범’경기동부연합 ― 차별받고 배제당한 사람들 1980~1990년대의 주사파 학생 운동 범경기동부 재생산 계급 특성과 지역 특성 2. 지지 단체 ― 반대와 규탄의 목소리 제명 거부 자격심사 반대와 국정원 정치 공작 규탄 3. 두 통일운동 세력이 만나다
결론. 경기동부연합은 어떻게 하위주체가 됐나 1. 5·18 광주 학살과 주체사상 2. 남한의 민주화와 북한의 경제 위기 3. 진영 논리와 기억의 고착
부록. 게재 논문 출처 구술 자료 참고 문헌 주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반대한민국세력의 비밀이 드러나다 : 대한민국은 지금 체제전쟁 중이다 2021 / 지음: 이희천 / 대추나무
2030 반대한민국세력의 비밀이 드러나다 2022 / 지음: 이희천 / 대추나무
통일 이후 통일을 생각한다2011 / 김학준, 박명림, 김영윤, 임홍빈, 김재용, 민경찬, 이종재 [지음] ; 일송기념사업회 편 / 푸른역사
통일 이후 통일을 생각한다2011 / 김학준, 박명림, 김영윤, 임홍빈, 김재용, 민경찬, 이종재 [지음] ; 일송기념사업회 편 / 푸른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