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머리말
1부 역사 스토리텔링의 인문학적 이론과 실제
1장 학문과 예술로서의 역사
1. 문화과학 관점의 역사 이야기
2. 문화과학에 기초한 역사의 스토리텔링
3. 역사의 학문적 접근과 예술적 접근
2장 이야기되는 역사
1. 역사의 이야기체 서술
2. 누가, 왜 역사를 이야기하는가?
3. 역사 이야기의 사실성과 허구성
3장 문화콘텐츠로 이야기되는 역사
1. 문화콘텐츠의 의미
2. 문화콘텐츠의 요소와 유형
3. 역사의 문화콘텐츠화
4장 역사 스토리텔링의 조건
1. 가치연관
2. 특수성의 보편화
3. 체험과 추체험
4. 질문, 해석, 재실행
5장 개인의 역사 스토리텔링
1. 김구 자서전 『백범일지』
2. 선조에 의한 시간의 이야기
3. 기억에 의존한 이야기
4. 개인 삶의 표현
5. 동시대인들의 유형화
6장 기록과 해석의 스토리텔링
1. 하나의 역사 세 개의 이야기
2. 텍스트의 수용과 창작
3. 추체험의 표현
7장 세 작품으로 본 역사 스토리텔링의 실제
1. 이야기를 통한 역사의 소통과 향유
2. 역사와 스토리텔링의 ‘나’와 ‘너’
3. 역사의 가치연관
4. 역사에 대한 질문과 담화
5. 역사 인물의 탐구와 인간이해
2부 역사 스토리텔링의 서사학적 이론과 실제
8장 서사학에 기초한 스토리텔링 이론
1. 문화콘텐츠와 스토리텔링의 관계
2. 스토리텔링의 서사와 담론
3. 사실서사와 허구서사의 결합
9장 스토리텔링의 요소와 구조
1. 서사행위요소
2. 서사형식구조
3. 서사성
10장 역사 인물 스토리텔링의 서사적 분석
1. 최용신 이야기의 형식과 내용
2. 최용신 이야기의 보편가치
11장 문화콘텐츠를 통한 역사 인물의 대중화
1. 역사 인물의 현대화와 대중화
2. 스토리텔링을 통한 문화콘텐츠 개발 사례
12장 스토리텔링 이론의 적용사례 분석
1. 서사적 이론의 적용 사례
2. 인문학적 이론의 적용 사례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