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_ 그리스와 제주도는 왜 비극의 근·현대사를 품었나
제1절 그리스 내전과 제주4·3
제2절 트루먼 독트린과 냉전
1. 미국의 봉쇄정책 구상과 냉전 형성
2. 트루먼 독트린과 그리스
3. 냉전의 확산과 한국
제3절 국가 건설과 민간인 학살
1. 국가 건설과 정치 폭력, 집단 행동
2. 제노사이드의 정의와 유형, 원인
3. 대게릴라전과 주민
제2장_ 그리스 내전
제1절 근대 그리스 국가의 역사적 배경
1. 근대 그리스 국가건설
2. ‘민족분열’과 ‘소아시아 재앙’
3. 우익강화정책의 구축과 그리스공산당
제2절 점령 시기 정치폭력의 기원과 구조
1. 외세의 침략과 영향
2. 저항운동의 통일전선 구축과 민족해방전선
3. 우파 저항단체와 친독협력정부
제3절 저항과 대응, 그리고 영국의 개입
1. 점령 시기 영국의 그리스 정책과 저항활동
2. 저항단체간 타협과 충돌, 균열
3. 점령과 학살의 영향
제4절 해방 전후 국가 건설과 정치 폭력
1. 국가건설과정
2. 데켐브리아나(12월 사건)와 영국의 역할
3. 백색테러와 총선거
제5절 그리스 내전과 군사적 동원
1. 제1국면(1946.3~1947.5): 내전의 발발과 폭력의 제도화
2. 제2국면(1947.5~1947.12): 민주군대의 공세와 미국의 개입
3. 제3국면(1947.12~1948.10): 미국의 지원과 대게릴라전
4. 제4국면(1948.10~1949.10): 내전의 종결과 영향
제3장_ 제주4·3
제1절 태평양전쟁과 제주도, 그리고 미국
1. 근현대 시기 제주도의 지정학적 조건과 열강
2. ‘결 7호작전’과 미군의 제주도 공습
3. 미군의 제주도 주둔 일본군 무장해제
제2절 제주도의 자치기구 건설운동과 사회경제적 영향
1. 제주도 자치기구 건설운동
2. 초기 미군정과 제주도
3. 제주도의 사회경제적 상황
제3절 ‘3·1사건’, 정치폭력의 기원과 구조
1. 3·1사건·3·10총파업과 제주사회의 변동
2. 미군정과 극우강화정책
3. 백색테러와 정치폭력의 구조
제4절 제주도 5·10선거와 미군정
1. 미군정과 5·10선거
2. 제주도 5·10선거
제5절 제주4·3과 군사적 동원
1. 제1국면(1948.4~1948.5): 4·3 무장봉기 발발과 미군정의 전략
2. 제2국면(1948.5~1948.10): 미군정 주도의 진압작전
3. 제3국면(1948.10~1949.5): 초토화와 학살
4. 제4국면(1949.5~1954.9): 최후의 군사적 동원과 미국
제4장_ 그리스 내전과 제주4·3의 비교: 일치점과 차이점
제1절 냉전체제와 미국의 역할
1. 일치점
2. 차이점
제2절 국가 건설과 정치 폭력
1. 일치점
2. 차이점
제3절 군사적 동원과정과 민간인 학살
1. 일치점
2. 차이점
제5장_ 그리스 내전에서 제주4·3을 보다
1. 신타그마 광장에서 ‘동양의 그리스’ 제주4·3의 비극 떠올리다
2. 그리스 산간마을에서 제주의 비극을 떠올리다
3. 마크로니소스 섬과 4·3 ‘수형인들’
4. 신화의 나라 저항의 나라
5. 저항과 비극의 서사, 스코페프티리오
6. 기억하라, 죽음으로부터의 구원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