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정옥—김유정 소설에 발현되는 아름다움에 대한 삼강적 자의식과 근대적 자의식의 의미작용 연구「산골」, 「소낙비」, 「안해」를 대상으로 1. 들어가며 2. 「산골」에 재현되는 아름다움에 대한 삼강적 자의식과 신화적 독서 3. 「소낙비」에서 충돌하는 아름다움에 대한 양가적 의식 4. 「안해」에서 그려지는 아름다움과 근대적 자의식의 의미작용 5. 나오며
제2부 김유정 소설 속의 여성들 구자희—김유정 소설에 나타난 에코페미니즘(Ecofeminism) 1. 에코페미니스트 화법(Ecofeminismist Dialogics)으로 소통하기 2. 상처 입은 자아와 파괴된 모럴 3. ‘돌봄의 윤리(an ethic of care)’로 치유하기 4. 트라우마의 극복을 위하여
곽승숙—김유정 소설의 ‘아내’와 열린 구조 1. 김유정 소설의 ‘아내’ 2. ‘아내’의 퇴장과 미완의 서사 3. 욕망의 대리자로서의 ‘아내’와 상승 구조 4. ‘아내’의 욕망 발현과 하강 구조 5. 결론
박혜경—김유정 소설 속 여성인물이 구현한 성의 양상 1. 들어가며 2. 순진무구한 욕망의 성 3. ‘밥’의 문제와 타자화된 성 4. 노동화된 성과 욕망 5. 나오며
제3부 김유정의 소설미학 김승종—김유정 소설의 ‘열린 결말’과 이중적 아이러니 1. 들어가며 2. 농촌 사회의 구조적 모순과 이중적 아이러니 3. 금광 및 들병이 소재 소설들의 이중적 아이러니 4. 해학적 소설과 도시 배경 소설의 이중적 아이러니 5. 나오며
송효섭—김유정 「산골」의 공간수사학 1. 공간수사학의 이론적 전제 2. 논항기호로서의 텍스트-본문과 제목의 추론적 관계 3. 공간의 지표성-은유와 환유 4. 기호들의 충돌과 그 수사적 효과 5. 수사적 코드에서 문화적 코드로
안미영—아이러니스트의 봄의 수사학김유정 소설연구 1. 들어가며-아이러니스트의 재서술 2. 아이러니에서 풍자, 해학 간의 거리 3. 두 개의 봄, 아이러니의 발생 4. 아이러니의 변주로서 계절 수사학 5. 나오며
이덕화—김유정 문학의 타자윤리학과 서사구조 1. 들어가며 2. 김유정 문학에서 나타난 타자윤리학의 배경 3. 타자윤리학에 의한 서사구조 4. 나오며-글쓰기를 통한 삶의 향유
제4부 김유정과 서울 정현숙—김유정과 서울 1. 들어가며 2. 서울의 도시화, 공간 분할과 불균형 3. 김유정 소설과 서울의 도시화 4. 나오며
윤현이—김유정 소설에 나타난 1930년대 서울의 모습과 의미 1. 들어가며 2. 1930년대 서울의 모습 3. 김유정 소설에 드러나는 1930년대 서울의 모습 4. 나오며
'중심'의 회복을 위하여 = On the way to the axis mundi, the sacred center of the world reading comtemporary novels through myth and symbol : 신화와 상징으로 현대소설 읽기2014 / 민혜숙 [지음] / 소명
쾌족, 뒷담화의 탄생 : 살아있는 고소설2014 / 지음: 이민희 / 푸른지식
텍스트와 콘텍스트, 혹은 한국 소설의 현상과 맥락 : 손정수 평론집2016 / 지은이: 손정수 / 자음과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