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쟁점으로 읽는 한국문학' 네 번째 도서. 독자 대중의 호기심에 긴장과 재미로 부응하면서 한국 소설 문학의 대중성을 확보하고 형이상학을 개척해온 추리 기법의 다양한 쓰임과 용례를 밝히고 새로운 문학적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한다.
목차
머리말
총론 한국문학의 꾸준한 가능성으로서의 추리기법
제1부 한국소설과 추리기법의 역사 송사소설계 추리소설과 정탐소설계 추리소설 비교 연구 / 이정옥 식민지 탐정소설의 성격과 이데올로기 / 차선일
제2부 추리, 서사의 모험과 진화 염상섭 초기 소설에 나타나는 신여성과 미스터리소설의 서사구조 / 김학균 김유정 소설의 추리서사적 기법 / 연남경 이청준 소설의 서사전략 ─ 탐구와 성찰의 격자구조 / 김한식 박경리 문학의 추리소설적 성격 연구 ─ 『가을에 온 여인』, 『타인들』, 『겨울비』를 중심으로 / 최경희
제3부 추리, 문학의 안과 밖 우리 문학과 추리소설 / 김윤식 자본주의의 미궁을 헤쳐가는 모험과 지혜와 질문의 드라마 ─ 우리 시대를 위한 새로운 추리소설을 기다리며 / 박덕규 추리소설의 이해 ─ 문학으로서의 추리소설 / 이상우 추리기법의 서사화와 그 가능성 ─ 김성종의 『최후의 증인』에 나타난 추리기법을 중심으로 / 정희모
제4부 추리, 장르의 변용과 확장 1950, 60년대 추리소설의 구조 분석 / 이정옥·임성래 『장군의 수염』의 메타 추리소설 경향 연구 / 오윤호 이문열의 종교추리소설 『사람의 아들』 / 백대윤
'중심'의 회복을 위하여 = On the way to the axis mundi, the sacred center of the world reading comtemporary novels through myth and symbol : 신화와 상징으로 현대소설 읽기2014 / 민혜숙 [지음] / 소명
쾌족, 뒷담화의 탄생 : 살아있는 고소설2014 / 지음: 이민희 / 푸른지식
텍스트와 콘텍스트, 혹은 한국 소설의 현상과 맥락 : 손정수 평론집2016 / 지은이: 손정수 / 자음과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