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 500년 동안 배출된 문과(대과)급제자의 신원을 여러 자료를 통해 전수조사하고, 원고지 1만 2천 장으로 분석, 이들이 벼슬아치의 후예인지 아니면 신분이 낮은 '개천에서 솟아난 용'인지를 밝힌 방대한 작업이 책으로 정리되어 나왔다.
목차
들어가면서
1. 조선 전기 신분제의 성격과 양반 2. 《경국대전》에 규정된 문과응시자격 3. 문과급제자 신분이동 연구자료 4. 태조-정종 대 신분이 낮은 급제자와 벼슬 5. 태종 대 신분이 낮은 급제자와 벼슬 6. 세종 대 신분이 낮은 급제자와 벼슬 7. 문종-단종 대 신분이 낮은 급제자와 벼슬 8. 세조 대 신분이 낮은 급제자와 벼슬 9. 예종-성종 대 신분이 낮은 급제자와 벼슬 10. 연산군 대 신분이 낮은 급제자와 벼슬 11. 중종 대 신분이 낮은 급제자와 벼슬 12. 명종 대 신분이 낮은 급제자와 벼슬 13. 선조 대 신분이 낮은 급제자와 벼슬 14. 조선 전기 낮은 신분의 문과급제자에 대한 종합적 정리
서가브라우징
조선의 일상 법정에 서다2013 / 한국고문서학회 지음 / 역사비평사
조선의 일상 법정에 서다2013 / 한국고문서학회 지음 / 역사비평사
조선으로 떠나는 시간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 정약용, 조식, 허균 그들의 발길을 따라 조선을 여행하다2019 / 지음: 한봉희 / 어마마마
조선으로 떠나는 시간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 정약용, 조식, 허균 그들의 발길을 따라 조선을 여행하다2019 / 지음: 한봉희 / 어마마마
과거, 출세의 사다리 : 족보를 통해 본 조선 문과급제자의 신분이동 = Civil service examination system, the ladder of success : social mobility of civil service examination passers seen through family genealogies during Joseon Dynasty , 태조~선조 대2013 / 한영우 저 / 지식산업사
조선왕조 의궤 : 국가의례와 그 기록2005 / 한영우 지음 / 일지사
儒敎政治와 佛敎2003 / 韓우劤 著 ; 韓우劤全集刊行委員會 編 / 한국학술정보
조선의 재발견 : 교과서에 없는 자랑스러운 우리 역사2017 / 지음: 한주서가 / 유아이북스
조선의 재발견 : 교과서에 없는 자랑스러운 우리 역사2017 / 지음: 한주서가 / 유아이북스
조선초기 국가제례 연구2002 / 한형주 저 / 일호각
의녀 : 팔방미인 조선 여의사2012 / 한희숙 지음 / 문학동네
의녀 : 팔방미인 조선 여의사2012 / 한희숙 지음 / 문학동네
같이 빌린 책
영조의 과거, 널리 인재를 구하다2013 / 이남희 지음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옛그림 속) 양반의 한평생2010 / 허인욱 지음 / 돌베개
(카페에서 읽는) 조선사: 아홉 가지 키워드로 보는 조선의 낯선 모습2020 / 지은이: 표학렬 / 인물과사상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