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보전생물학, 유전학적 접근
서문
집에서 읽어야 할 내용
감사의 말
역자서문
역자소개
제1장 서론
‘6번째 절멸’
생물다양성을 왜 보전해야 하는가?
멸종위기 및 절멸 종
멸종위협종이란?
무엇이 절멸을 유발하는가?
보전유전학이란?
제2장 유전다양성
유전다양성의 중요성
유전다양성이란?
유전다양성 측정
하디 바인베르크 평형
유전다양성 정도
낮은 유전다양성을 지닌 멸종위기종
유전다양성의 어떤 구성 요소가 진화 능력을 결정하나?
제3장 자연 개체군과 진화 유전학
개체군 진화를 조절하는 요인들
유전다양성의 기원과 재생
돌연변이
이동과 유전자 흐름
선택과 적응
유전자형 x 환경 상호작용
돌연변이 - 선택 균형
제4장 소개체군 크기에서 나타나는 유전적 결과
보전생물학에서 소개체군의 중요성
유전다양성 손실
우연의 효과와 유전자 부동
유전자 부동
유전다양성에 가해지는 지속적인 개체군 크기 제한 효과
내교배
임의 교배하는 소개체군에서의 내교배
개체군 크기 측정
개체군 조각화
제5장 유전학과 절멸
유전학과 멸종위기종의 운명
내교배 억압
내교배 억압 측정
내교배와 절멸의 상관관계
유전다양성 손실과 절멸의 상관관계
유전적으로 생존가능 개체군
개체군 생존력 분석(PVA)
제6장 분류학적 불확실성 해결과 관리 단위 규정
보전생물학에서 정확한 분류의 중요성
종이란 무엇인가?
아종
어떻게 종이 만들어지나?
종의 한계 설정에 사용되는 유전 분석
유전 거리
계통수 작성
외교배 억압
종 내 관리 단위 규정
제7장 야생 상태 멸종위기종의 유전적 관리
멸종위기 개체군과 관련된 유전적 쟁점들
개체군 크기 증가
유전 문제 진단
낮은 유전다양성을 지니며 내교배하는 소개체군 복원
조각난 개체군 유전 관리
보호지역 설계와 관련된 유전 쟁점들
유전자 침투와 잡종화
남획의 영향
외교배하는 이배체가 아닌 종들의 유전 관리
복원 전략 평가
보충 교배와 보조 번식 기술들
제8장 사육 교배와 재도입
왜 사육 교배하는가?
사육 교배와 재도입 단계
사육 개체군 조성
사육 개체군 성장
유지 단계 유전 관리
식물의 현지외 보전
유전 질병 관리
재도입
사육 교배와 재도입 사례 연구
제9장 법의학에서의 분자생물학과 종생물학 이해
법의학 : 불법 사냥과 채취 검색
종생물학 이해가 보전에 결정적이다
유전자 계통수와 유착
개체군 크기와 개체군 동태 이력
유전자 흐름과 개체군 구조
재도입과 이주
교배 체계, 친자관계, 개척자 유연관계 그리고 성
질병
영양
마지막 해야 할 일
용어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