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제1장 서론 : 극장의 출현과 ‘취미’라는 기표
1. 문제제기
2. 연구사 검토
3. 연구방법 및 범위
제2장 근대 취미담론의 형성과 전개
1. 서구 ‘취미’담론과 일본 ‘취미’담론의 형성과 전개
1) 서구 계몽주의와 근대 ‘취미’담론
2) 일본 메이지 문화개량운동과 근대 ‘취미’담론
2. 한국 근대 취미담론의 기원과 형성
1) 근대 취미담론의 전사 : 18세기 신지식인층의 문화를 중심으로
2) 1900년대 계몽담론과 ‘취미’ 개념의 등장
3) 1910년대 ‘문명’과 식민주의적 변용으로서의 ‘취미’
제3장 근대 공연문화와 취미의 제도화
1. 계몽의 기획으로서의 근대 초기 연극담론
1) 극장의 출현과 1900년대 연극개량담론
2) 근대 시각장의 체험과 관극문화의 형성
2. 문화공동체의 출현과 공공취미의 보급
1) 1910년대 ‘극장취미’와 관객의 형성
2) ‘취미화’를 둘러싼 제국-식민의 역학관계
제4장 근대 초기 공연문화의 분화ㆍ교섭과 취미의 통합적 기능
1. 근대 교육제도와 대중문화를 통한 취미의 확산
1) 근대 관람문화와 공연물의 연계
2) 교과 과정과 ‘취미’의 내면화 : ‘수신’교과와 ‘학적부’의 취미
3) 근대적 인간형과 ‘취미’라는 척도
2. 근대 극장을 중심으로 한 공연문화의 교섭 양상
1) 막간 공연의 흥행과 대중연극취미
2) 연쇄극과 활동사진취미
3) 대중연극 삽입가요의 유행과 음반취미
제5장 결론 : 일상과 개인, 취미의 정치학
부록
1. 李王職博物館 編, 『李王家博物館所藏品寫眞帖』, 李王職博物館(京城), 1918
2. 朝鮮總督府 編, 『高等普通學校修身書』 卷3, 朝鮮總督府(京城), 1923
3. 友枝高彦, 『(改正) 中學修身』, (合)富山房(東京), 1925
4. 乙黑武雄ㆍ關寬之共著, 『(改正)學籍簿精義』, 東洋圖書株式合資會社(東京), 1938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