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최제우, 최시형, 이돈화, 김기전, 나철, 이기, 서일, 신채호, 이회영, 박은식, 전병훈, 박종홍, 함석헌, 신남철, 박치우를 포함한 15명의 주요 인물을 중심으로 지금껏 우리 안에서 망각되어온 한국현대철학사의 맥을 조목조목 짚어낸다.
목차
들어가는 말
서문| 성실성(誠實性)과 충실성(充實性)
1부 자유와 현실
1장| 표현과 개벽: 최제우, 최시형, 이돈화. 김기전
1. 천명(天命)과 무극대도(無極大道)
2. 두 가지 방법과 능동적 신비주의
3. 경험과 표현(表顯)
4. 세계불안과 자기인식
5. 개방성과 연대성
6. 때[時]와 개벽(開闢)
7. 심령의 윤리와 영적 코뮤니즘
8. 표현의 정치학
9. 창조적 진화와 자유
10. 대지(大地)의 철학 선언과 본위론(本位論)
11. 철학적 의의와 체용합일
2장| 저항과 위대한 영혼(한얼): 전병훈, 나철, 이기, 서일
1. 공화(共和)와 겸성(兼聖)의 원리
2. 연금술적 위생학(衛生學)
3. 나철(羅喆)과 이기(李沂)의 벽파(劈破)
4. 민권의 보편적 원리[通義]
5. 성리(性理)와 의지[志氣]
6. 하나의 무[一無]와 위대한 영혼(한얼)
7. 본연의 성(性)과 씨알 인성론
8. 고요한 무와 움직이는 유[靜無動有]
9. 아(我)와 대동(大同)
3장| 자아와 탈환(奪還): 신채호, 이회영, 이건창, 박은식
1. 자아와 호매불기(豪邁不羈)의 주체성
2. 자유와 탈환(奪還)
3. 강자의 도덕과 자유
4. 혁신 유가와 개혁론
5. 양지(良知)와 우주적 연대성
6. 마음과 평등의 공리(公理)
2부 현실과 창조
4장| 현실과 변증법적 사유의 흥기
5장| 현실적 변증법과 창조: 박종홍
1. 현실과 창조적 주체성
2. 주객 변증법과 부정의 변증법
3. 이학적(理學的) 생성론과 창조의 논리
4. 생산적 구상력과 이성
5. 존재론과 부정의 논리
6. 과학정신과 전환의 모색
7. 무(無)의 형이상학과 개방성
6장| 씨알의 자유와 내면의 정치학: 함석헌
1. 씨알철학과 사상의 혁명
2. 심정과 자유
3. 문체와 심정
4. 통일적 세계상과 자기의식
5. 심정의 진리구조
6. 윤리적 형이상학
7. 시간과 자유
8. 자유와 내면의 정치학
9. 동양사상과 종교–윤리적 대안 논박
7장| 비극적 변증법과 생의 전환: 신남철
1. 역사적 상황과 문제의식
2. 역사와 생의 감정
3. 생의 약동과 압열(壓裂)
4. 변증법적 이성과 역사법칙
5. 구체적 전체성과 생의 전환
6. 비극적 변증법과 전망
8장| 실천적 변증법과 반자유주의 논리: 박치우
1. 실천적 지성과 이상적 인격
2. 철학과 새로운 휴머니즘
3. 위기의 운명과 단절적 개방성
4. 파악의 성실성과 행동의 내재성
5. 새 자유와 반자유주의 논리
6. 모순의 논리에 대한 논박과 옹호
3부 현실과 전망
9장| 현대의 상황과 생의 이상
1. 현실과 소통적 자유
2. 주체성과 탈귀속성
3. 합리화 과정과 주체성
4. 성찰과 표상의 정치학
10장| 현대철학의 자연철학적 전망
1. 소통방식과 자연철학
2. 기계론적 그림 모델의 실패
3. 목적론과 자연철학
4. 고체의 논리와 성운(星雲)
5. 수렴(收斂)과 발산(發散)
11장| 도래하는 시대의 철학
1. 균열과 평등
2. 관계와 생기(生起)
결론| 운명[命]과 이름[名]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