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름다움이 세상을 구원할 것이다 : 도스또예프스끼의 삶과 예술을 찾아서
발행연도 - 2012 / 이병훈 지음 / 문학동네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2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274037
-
ISBN
9788954617161
-
형태
346 p. 23 cm
-
한국십진분류
문학
>
기타 제문학
>
인도-유럽계문학
-
카테고리분류
인문
>
인문학 일반
>
교양 인문학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도스또예프스끼의 생애, 작품, 예술 세계로 인도하는 안내서. <모스끄바가 사랑한 예술가들> <백야의 뻬쩨르부르그에서>를 통해 러시아의 대표적인 도시와 그 안에서 탄생한 찬란한 문화예술의 발자취를 폭넓게 다루었던 저자 이병훈이, 이번에는 시공을 초월한 대문호의 연대기를 축으로 그가 살아간 시대와 공간 그리고 그가 남긴 작품과 사상의 향연을 현미경으로 들여다보듯 세밀하게 복원해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들어가며 다시, 도스또예프스끼
1부 시작과 좌절
1. 아빠, 왜 저 사람들은 불쌍한 말을 죽인 거예요! ―모스끄바 유년 시절(1821~1837)
2. 인간이라는 비밀을 파헤쳐내야 해 ―뻬쩨르부르그 공병학교 시절(1838~1841)
3. 러시아에 새로운 고골이 나타났다 ―작가가 되다(1842~1848): 「가난한 사람들」 「분신」 외
4. 내가 다시 살 수 있다면 ―뻬뜨라셰프스끼 사건과 시베리아 유형(1846~1849)
2부 방황과 모색
5. 진리는 불행 가운데서 빛나는 것이기에 ―시베리아 감옥과 유형 생활(1850~1859): 『죽음의 집의 기록』
6. 예술은 항상 동시대적이고 현실적이다 ―뻬쩨르부르그로 돌아오다(1860~1862): 잡지 활동과 『학대받고 모욕당한 사람들』
7. 몽땅 잃고 말았다, 몽땅 다! ―연애와 비극적인 사건들(1863~1865): 『노름꾼』 「지하생활자의 수기」
8. 아! 이제 모든 것이 변해야 되지 않을까? ―암담한 현실에서 『죄와 벌』을 쓰다(1865~1867)
3부 절정과 죽음
9. 아름다움이 세상을 구원할 것이다 ―오랜 유럽 체류(1867~1871): 『백치』
10. 악령들이 사람한테서 나와 돼지들 속으로 들어갔다 ―러시아로 돌아오다(1871~1875): 『악령』 『미성년』
11. 오래된 교회에서는 기도가 더 잘됐다 ―스따라야 루사와 도스또예프스끼(1872~1880)
12. 엄마도 아이도 술을 마시고 아버지는 강도질을 하고 있다 ―작가의 말년 생활(1876~1880): 『작가의 일기』
13. 자, 우리를 심판할 수 있으면 해보시오 ―마지막 장편소설을 완성하다(1880): 『까라마조프 씨네 형제들』
14. 나는 뿌쉬낀을 예언적 현상이라 말하고 싶다 ―뿌쉬낀 축전과 죽음(1880~1881): 「뿌쉬낀에 관하여」
작가의 말
주
참고 문헌
찾아보기
도스또예프스끼 연보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