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말: ‘생각이 없는’ 민족은 망한다
제1부 학교란 무엇인가
1장 학교는 어떻게 태어나고 자라왔는가
고위 관료 양성 교육이 국가의 목적
철저히 국가의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학교
국가는 한 인간을 위해 존재해야 한다
2장 국가의 학교교육 정책과 학교교육의 성격은 무엇인가
국가의 학교교육 정책
교육의 기능이 어떻게 목적이 되었나
학교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나
- 경쟁심만 키우는 학교 문화가 문제
- 이공계 중시하며 인문계 천대한 독재 권력
3장 학교교육 이념에 대한 두 가지 신화
인재 양성론의 허구
허상뿐인 도덕교육론
- 관공립 학교 세우며 교훈도 일괄적으로 제정
- 국가주의 도덕이 히틀러유겐트와 가미가제 특공대 낳아
학교교육에서 인격이 길러질 수 있을까
- 학교교육만으로 인격을 변화시키긴 힘들어
제2부 학교교육의 목적
1장 평화는 교육의 목표
학교교육과 교육은 분명 다르다
증오는 이데올로기 교육이자 세뇌 교육
2장 학교교육에서의 평화는 무엇인가
평화는 평등, 자유, 공존의 세상
- 언제나 존중받아야 할 인간의 존엄성
공존하는 삶의 의미
- 이데올로기나 종교 갈등 많아
주체적인 삶이란
- 문화는 다를 뿐 우열로 나누면 안 돼
다양하게 산다는 것
- 대학은 아이들의 재능과 소질을 최대화시켜주는 곳
- 온 국민의 과거시험 준비는 그만둬야
제3부 평화를 위한 학교교육 제도
1장 교육 행정은 ‘평등과 자율’
국가 차원에서의 제도 문제 중요
- 제도의 개선으로 해야 하는 이유
2장 학교교육의 운영 원칙
학교는 통제보다 자율권 보장이 중요
- 자율은 권리가 아닌 의무 체계
- 학생들 스스로 만드는 예술제, 이것이 자율권
제4부 교사의 길 학생의 길
1장 교육에서 사랑이란 무엇인가
교사와 학생의 만남은 인연이다
- 교사는 학생의 ‘참된 이익’에 봉사해야
교사와 학생의 진정한 만남을 위한 선결과제
- 사상, 신앙을 주입하지 않아야 한다
- 좋은 것이 독이 될 수도 있다?
- 편애하면 안 된다
- 끊임없이 전문성을 길러야 한다
- 교사로서 받는 월급으로 만족해야 한다
글을 마치며: ‘옳은 교육’을 위해서는 국가의 통제 벗어나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