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1세기 동북아 연결망) 한중 해저터널의 기본구상 = Grand network for northeast Asia in the 21st century basic conception of the Korea-China subsea tunnel
발행연도 - 2010 / 조응래 ; 노춘희 ; 김은경 ; 김점산 ; 이수행 ; 권혁빈 ; 김연규 ; 박장수 ; 신현영 ; 신희순 ; 이한석 지음 ; 경기개발연구원 엮음 / 한울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244882
-
ISBN
9788946053151
-
형태
235 p. 24 cm
-
한국십진분류
기술과학
>
공학, 공업일반, 토목공학, 환경공학
>
철도공학
-
카테고리분류
경제/경영
>
경제
>
경제이론/경제사상
책소개
경기개발원이 한중 해저터널의 경제적 효과와 입지적, 기술적, 자본적 타당성 등을 심층적으로 연구한 결과물이다. 세계경제는 광역경제권을 중심으로 재편될 것이다. 이에 한중 해저터널은 동북아경제권 경제협력의 연결로로서 물류비용과 시간을 획기적으로 절감하여 양국 간 교통·물류 협력을 크게 증진시키고 고용증대와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목차
인사말 / 김문수[경기도지사]
추천사 / 송병락[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발간사 / 좌승희[경기개발연구원 원장]
서문 / 조응래[대표저자, 경기개발연구원 부원장]
1장 한중 해저터널의 기본구상
1. 동북아 경제권의 부상
2. 한중 해저터널의 의의
3. 해외 해저터널 건설사례
4. 노선대안 및 기술검토
5. 여객 화물 수요예측
6.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7. 향후 추진전략
2장 동북아시아 국가 간 교통물류 현황
1. 한중 및 한일 간의 교역수준 현황
2. 한중 및 한일 간의 여객수송 현황
3. 한중 및 한일 간의 화물수송 현황
4. 한·중·일 간 교통물류 협력방안
3장 국내외 해저터널의 현황
1. 국내외 해저터널 현황
2. 운영 중인 터널 개요
4장 해저터널 건설 시 고려해야 할 기술요소
1. 터널시공방법
2. 해저터널의 운송방식 및 설계기준 검토
3. 해외사례로부터의 현대 기술수준의 추정
5장 한중 해저터널의 노선대안 검토
1. 황해의 지형과 지질
2. 황해의 지진
3. 노선 대안 검토
4. 시공 공법 검토
5. 공사기간과 개략공사비 산정
6장 한중 해저터널의 여객 및 화물 수요예측
1. 사회경제지표 현황
2. 사회경제지표 예측
3. 장래 여객발생량 예측
4. 장래 화물발생량 예측
7장 해저터널과 철도기술
1. 세계 주요 해저터널의 철도기술 사례
2. 해저터널에 적용가능한 철도 기술
3. 새로운 철도기술 도입을 기대하며
8장 인공섬을 활용한 해저도시 건설방안
1. 해양도시의 의미와 전망
2. 해상도시의 구상
3. 해상호텔의 실현
4. 해저도시의 실험
5. 미래 해양 공간의 실용화를 위해
9장 한중 해저터널의 사회경제적 파급효과
1. 한중 해저터널이 동북아 경제에 미칠 영향
2. 한중 해저터널의 경제적 파급효과
3. 문화·관광교류 증대 효과
10장 한중 해저터널의 재원조달 방안
1. 해외 해저터널 사업의 재원조달 체계
2. 한중 해저터널 사업의 자금조달 방법
3. 한중 해저터널 사업의 재원확보 방안
4. 한중 해저터널 사업의 리스크 분석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