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개념의 예술가’라는 별명으로 유명한 철학자 김용석이 철학과 대중문화의 만남을 꾀한 책. 부제에 나오는 필로소페인은 ‘철학하다’라는 뜻의 고대 그리스어 표현이다. 학습으로 철학하기가 아닌 ‘춤추듯 철학하기’를 드러내고자 함이다. 광고, 문자, 만화, 애니메이션, 영화의 7분야에서 펼쳐지는 총 64개의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저자가 말한 ‘필로소페인’이 어떤 것인지 체감하게 될 것이다.
목차
ㅣ여는 말ㅣ 광장에서
1 공연
01 ‘시각의 해체’에서 ‘소리의 혼돈’으로 - 송승환 <난타>
02 인간은 무엇을 보장받고 싶어 하는가? - 이은결 <마술 콘서트>
03 몸의 내적 융합에서 자유를 보다 - 비보이 공연
04 자율적 놀이의 유토피아를 위하여 - 우드스톡 록페스티벌
05 가면의 뒤 그리고 가면의 앞 - OSMU의 전형 <오페라의 유령>
06 전도된 의인화가 드러내는 인간의 정체는? - 뮤지컬 <캣츠>
07 몸의 곡예가 영혼을 울릴 수 있을까? - 태양의 서커스 <퀴담>
08 ‘허영의 관리’라는 윤리적 과제 - 발렌티노, 패션쇼, 패션철학
09 인형극의 매력? 사람이 ‘거기’ 있기 때문에 - 인형극을 사랑하는 사람들을 위하여
2 방송
01 인생의 모순에 양다리 걸치기 - 라디오 방송
02 사람들은 왜 ‘삶의 깊이’를 찾는가? - 라디오 디제이
03 ‘새로움을 제공한다는 것’의 의미 - 텔레비전 ‘뉴스’
04 타인의 삶을 내 방으로 가져오는 ‘시선의 권력’ - 리얼리티 TV
05 기억의 여신을 오해한 엔터테인먼트? - 방송 퀴즈 프로그램
06 품위와 열외의 인간학 - <동물의 왕국> 시청자
07 영웅, ‘삼각관계 풀어가기’의 달인? - 김종선 연출 드라마 <대조영>
08 권력과 창조력의 ‘투쟁 과정’으로서 요리 - 이병훈 연출 드라마 <대장금>
09 논증과 물증 사이 - ‘미드’ <콜롬보>에서 〈C.S.I.〉로
3 광고
01 자유에 관한 ‘베이스캠프’ 이론 - 아파트 광고와 ‘내 집 마련’
02 ‘독립 공간’이라는 욕망의 환상적 여백 - 자동차 광고와 ‘나만의 공간’
03 화면과 나르키소스 - 휴대전화기 광고의 비밀
04 ‘일상의 사이보그’ 되기 - 가전·전자 제품 광고가 전망하는 세상
05 몸, 살, 사람 그리고 변증법의 개그 - 다이어트 광고의 특별한 소외 전략
06 유소미아: 통증 없는 육체 - 의약품 광고가 희망하는 세상
07 조화의 그물망에는 ‘파격의 매듭’이 있다 - 화장품 광고와 ‘모순의 한쪽’
08 여행이란 무엇인가? - 반쪽짜리 ‘여행’ 광고 뒤집어 보기
09 ‘인생 안전 설계’라는 가상현실과 미래 적응도 - 금융?보험 광고의 심연
4 문자
01 의미 형성의 주체로서 인간 - ‘자기치유’의 욕구와 문자문화
02 할 수 있다, 하면 된다, 한다! - ‘훈(訓)’과 ‘계(戒)’의 매체로서 문자
03 ‘설득의 언어’를 찾아서 - 책 세상에 부유하는 ‘설득의 욕구’를 넘어서
04 고전의 대중화와 인문 권위주의 - 위기의 시대 ‘고전 읽기’라는 문화트렌드에 대하여
05 문자의 미로에서 범인 찾기 - 문자문화와 추리 효과
06 해리 포터와 대안 학교의 신화 - 조앤 롤링의 해리 포터 시리즈를 다시 생각한다
07 벤자민의 시간은 책갈피에 멈춰 있다 - 시간예술도 공간예술도 아닌 ‘인문예술의 재미’에 대하여
08 작가를 부탁해! - 대중문화의 보이지 않는 ‘속살’에 대하여
09 무엇을 ‘오바마처럼’ 해볼까? - 글쓰기, ‘발효 문화’의 정수
10 나는 표현한다, 고로 존재한다 - 인터넷 ‘댓글’ 문화를 생각한다
5 만화
01 만화예술의 세계 - 스콧 맥클라우드 3부작 <만화의 이해>, <만화의 미래>, <만화의 창작>
02 인간은 먹기 위해 사는가? 창조 욕구로 요리하는 인간 - 허영만 <식객>
03 어떻게 ‘불순의 지혜’를 얻을 수 있을까? - 강풀 <순정만화>
04 삶의 한복판에서 ‘스스로의 속도’를 찾아서… - 심승현 <파페포포 안단테>
05 도시의 피터팬, 인간의 초상을 그리다 - 마츠모토 타이요 <철콘 근크리트>
06 인간에 관한 세 가지 물음??? - 우라사와 나오키 <플루토>
07 누가 ‘죽임’의 절대권을 선택하는가? - 오바 츠쿠미/오바타 타케시 <데스노트>
08 누가 누구를 또 어떻게 억압하는가? - 아트 슈피겔만 <쥐>
09 내 의식의 알몸으로 너를 보리라 - 박재동 외 <십시일反>
6 애니메이션
01 날지 않는 돼지는 돼지일 뿐이야 - 미야자키 하야오 <붉은 돼지>
02 인간이 ‘양날의 칼’이다 - 오토모 가츠히로 <스팀 보이>
03 유기체로 산다는 것의 의미는? - 크리스 웻지 <로봇>
04 ‘가까이 하기’와 ‘멀리 하기’의 변증법 - 길 키넌 <몬스터 하우스>
05 공동체끼리 서로 사랑할 수 있을까? - 김문생 <원더풀 데이즈>
06 왜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이 소중한가? - 이성강 <천년여우, 여우비>
07 쥐를 통해 본 인간의 복잡성 - 브래드 버드 <라따뚜이>
08 꿈속에 범람하는 ‘진실’ 또는 ‘사기’ - 곤 사토시 <파프리카>
09 향수에 갇힌 상상력 - 앤드류 스탠튼 <월·E〉
7 영화
01 누가 ‘완성의 신화’로부터 자유로운가? - 김용화 <미녀는 괴로워>
02 유토피아는 어떻게 존재하는가? - 박광현 <웰컴 투 동막골>
03 ‘유포니아’를 실현한 사람들 - 이준익 <라디오 스타>
04 우리는 우리 자신과 화해할 수 있을까? - 봉준호 <괴물>
05 우리는 눈물로 무엇을 해소하는가? - 송해성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06 그대는 광대의 세계를 아는가? - 이준익 <왕의 남자>
07 선과 악의 윤리적 판타지가 현실로 치환될 때… - <디 워>와 말의 전쟁
08 ‘극단을 추구하는 동물’ 또는 ‘극미한 존재로서 인간’ - <세븐 데이즈>와 <추격자>
09 삼차원 ‘코스믹 웨스턴’에 담긴 확인과 의혹 - 제임스 캐머런 <아바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