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과 검찰의 탄생>은 한국의 사법제도를 구성하는 기본적 법제와 관념들의 계보, 특히 법원·검찰에 관한 법제와 실무를 지배하는 의식과 관행이 어디에서 기원해 어떻게 변화되어왔는지 추적하고 있다. 구한말, 일제시대, 미군정기와 정부수립 이후까지, 각 시기 핵심적 법령의 입법과정과 이를 둘러싼 정치적 역학관계를 밝힘으로써 결국에는 우리 사법제도의 명과 암을 들여다본다.
목차
책머리에
서론
제1부 전통에서 근대로
도론_ 근대 초 한국에서 사법 근대화의 의미
1장 사법의 전통과 근대
2장 개화파의 ‘사상’ 속의 법과 재판
3장 갑오개혁과 재판소구성법의 ‘출현’
4장 대한제국기의 사법제도―전통의 근대적 변용과 그 한계
제2부 사법의 식민지적 근대, 1905~1945
도론_ 일본의 제국적 법질서와 식민지 사법
5장 식민지형 사법제도의 형성과 확산
6장 일제의 한국 사법권 침탈과 사법제도 ‘개량’
7장 식민지통치체제하의 사법구조
8장 일본의 ‘검찰사법’적 사법제도의 전개
9장 조선형사령과 식민지 형사사법
제3부 헌정과 사법, 1945~
도론_‘헌법투쟁’으로서의 사법제도 개편과정
10장 미군정기 남한 사법기구의 재건
11장 형사사법제도의 개혁을 향하여
12장 사법권 독립, 독점, 민주화―법원조직법의 제정과정
13장 검찰권 강화의 욕망과 현실―검찰청법 제정과정
14장 권위주의 정권하의 법원과 검찰
결론
부록
한국 근대 사법사 연표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법정에 들어서는 자 모든 희망을 버려라 : 사법이 변하면 사회가 변한다2017 / 지음: 세기 히로시 ; 옮김: 박현석 / 사과나무
고백 그리고 고발 : 대한민국의 사법현실을 모두 고발하다2015 / 지음: 안천식 / 옹두리
찢어진 예금통장 : 고백 그리고 고발 다음 이야기2017 / 지음: 안천식 / 옹두리
주기자의 사법활극2015 / 지은이: 주진우 ; , / 푸른숲
주기자의 사법활극2015 / 지은이: 주진우 ; , / 푸른숲
위험한 권력 : 견제 받지 않는 사법 관료, 사유화된 검찰 권력2012 / 최재천 지음 / 유리창
(나홀로) 내용증명 고소·고발장 작성하기 : 실제 실무서식, 문답식으로 함께 수록2017 / 편저: 김창범 / 법문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