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관순 가(家)의 사람들 : 3·1운동 100주년 기념
발행연도 - 2019 / 지음: 이덕주, 최태육 / 신앙과지성사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2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444663
-
ISBN
9788969072108
-
형태
230 p. 23 cm
-
한국십진분류
역사
>
아시아
>
한국
-
카테고리분류
종교
>
종교학
>
종교사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한국의 근현대사와 한국 교회사에 큰 발자취를 남긴 유관순 가의 사람들을 조명하고 있다. 유관순을 영웅화 하려던 시도들을 비판하면서 침략과 수탈에 저항한 유관순과 그 가족들이 자신의 신앙을 고백하며 왜 독립운동에 매진하게 되었는지 이해할 수 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책머리에
들어가는 말
제1장 힘 잃은 고요한 아침의 나라
1. 삶의 자리
1) 유관순 가(家)의 사람들
2) 아우내와 지령리교회
2. 침탈과 무능력의 시대
1) 마을로 간 침략
2) 마을로 간 수탈
3) 관청의 무능력과 의지할 곳 없는 사람들
3. 힘 있는 종교
1) 의지할 곳 없는 사람들의 선택
2) 감리교의 목천 선교
3) 무기력한 민족과 힘 있는 종교
4) 봉건계급 철폐와 주권재민의 세상
제2장 저항을 통해 되찾은 신앙
1. 유빈기와 유윤기의 삶과 사상
1) 유관순 가의 지령리교회 설립
2) 유성배와 기독교 민족주의
3) 유윤기와 기독교 평등주의
2. 유중권ㆍ이소제, 유중무와 1908년 부흥회
1) 유중권ㆍ이소제의 교육과 순국
2) 유중무의 회심과 투옥
3. 유관순의 생애
1) 어린 시절과 이화학당
2) 1919년 4월 1일 아우내
3) 형무소, 고통의 시간
4) 장례, 잊어버린 존재
4. 남겨진 사람들
1) 가슴 졸인 세월을 산 유예도
2) 역사의 증인 노마리아와 유경석
3) 독립운동가 유우석과 교육자 조화벽
4) 유관순의 삶을 닮은 유제경
나오는 말
주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1 |
20대 | 1 |
30대 | 0 |
40대 | 0 |
50대 | 1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1 |
2020년 | 0 |
2021년 | 1 |
2022년 | 0 |
2023년 | 1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