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01 서론: 다문화 시대, 위기와 도전 사이에서
1. 다문화주의를 넘어서
2. 위기와 기회의 사이에서
02 한국 다문화 현실에 대한 몇 가지 이야기들
1. 다문화 시대의 대한민국
2. 한국 다문화 혹은 이주민 정책담론의 문제와 시사점
1) 한국 다문화 담론의 문제점
2) 한국 정부의 다문화 정책의 문제
3) 한국 다문화 정책의 방향과 시사점
3. 다문화 시대, 민주주의를 향하여
03 다문화주의 정치철학과 정책담론의 조류
1. 다문화주의의 개념과 유형
1) 다문화주의란 무엇인가
2) 다문화주의의 유형
2. 다문화주의와 정치사회적 담론
1) 다문화주의와 문화적 권리
2) 다문화주의와 인정의 정치
3) 다문화주의와 재분배의 정치
4) 다문화주의와 신자유주의
3. 외국 다문화 담론의 한계
4. 다문화 민주주의의 이론적 모색
1) 비판적 다문화주의(critical multiculturalism)
2) 다문화 민주주의적 개념
3) 다문화 민주주의적 원칙들
04 이주민의 주체성과 소수자의 정치학
1. 주체성과 실천
1) 주체와 구조의 관계
2) 성찰성의 급진화와 규칙
2. 소수자의 주체성과 '되기'의 정치
1) 소수자의 주체성의 함의
2) 소수자의 주체화 전략
3) 소수자 ‘되기(becoming)'의 정치학
3. 소결
05 이주민의 정치적 주체화 전략
1. 인권담론의 급진화와 성원권
1) 인권담론의 확장
2) 권리를 가질 권리
2. 이주노동자의 시민권
3. 이주민의 소수자-되기와 연대
1) 이주민의 소수자-되기
2) 소수자 연대: 불가능한 동일시
4. 소수자의 주체화와 통치성
5. 소결
06 다문화 정치통합의 전략: 쟁투적 공동세계
1. 자유주의적 관용을 넘어서
2. 쟁투적 공동세계(agonistic common world)의 활성화
3. 다문화적 시민성의 함양
07 다문화 정치통합의 전략: 공화주의적 애국주의
1. 공화주의적 애국주의의 원리
2. 공화주의적 애국주의의 재구성
1) 사해동포주의 비판
2) 민족주의 비판
3) 미족성과 경계의 재구성
4) 정체성의 재구성
3. 대한민국 ‘만들기(Achieving)’
1) 정의로운 공화국 만들기
2) 대한민국은 애국의 대상이 될 수 있는가?
4. 소결
08 나오며: 다문화 공동체, 새로운 정치통합을 향하여
보론 - 유교적 통치성의 현대화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