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치학이 마주한 정체성의 위기를 진단하고 대안을 모색한다. 프랑스, 독일, 일본 등 한국보다 선진적인 국가들의 정치학이, 자국의 정치 현실, 인접한 여러 사회과학 분과학문 그리고 미국 정치학과의 관계 속에서 이해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목차
서론 현대 정치학의 보편성과 정체성 / 강정인
1부 세계 주요 국가 정치학의 발전과 현황 1장 미국 정치학의 성격과 정치학 교육 / 백창재 2장 프랑스 정치학의 형성 / 하상복 3장 독일 정치학의 형성과 역사적 전개 과정 - 대학 제도 변화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최순영 4장 전후 일본의 정치학 정체성론 연구 - 과학성, 자율성, 주체성 논의를 중심으로 / 고희탁
2부 한국에서의 정치학의 정체성 5장 조선시대 중화주의의 두 흐름 / 이상익 6장 한국 정치학의 기원과 정체성 탐색 / 배병삼 7장 현대 한국 정치학의 정체성 담론 - 역사적 고찰 / 정승현 8장 국제정치(경제)학의 미국 의존성 문제 / 김학노 9장 정치학 입문서에 나타난 서구 중심주의의 완화ㆍ극복 방안 / 강정인
3부 세계의 정치학 입문서 현황 10장 프랑스 정치학 교재의 특성 - 구성과 내용의 비교론적 분석 / 하상복 11장 독일 정치학 입문서의 특징 분석 - 한국 정치학 입문서 집필을 위한 참고사항 중심으로 / 최순영 12장 일본의 정치학 입문서 사례 분석 - 정치학 정체성과 교재의 관계를 중심으로 / 고희탁 13장 태국의 근대 정치학과 정치학 입문서 분석 / 송경아 14장 말레이시아의 정치학 입문서 검토 / 김형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