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도비라
머리말
차례
Chapter 1. 인문학 자동차를 탐하다
1. 인문학과 공학의 말 트기
2. 인문학과 공학의 벽 허물기
3. 인문학자의 공학 엿보기
4. 인문학과 공학 마주보기
5. 미래를 위한 모색
Chapter 2. 한국 역사상 탈 것의 역사는 어떻게 시작 되었는가?
1. 한국 역사상 최초의 탈 것, 오룡거(五龍車)
2.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의 수레
3. 조선시대 국왕의 수레와 가마
Chapter 3. 자동차, 도구인가 무기인가?
1. 자동차의 의미
2. 자동차의 계보학
3. 속도와 무기
4. 자동차의 표현체제
Chapter 4. 자동차 이름은 어떻게 정하는가?
1. 이름 짓기의 특징
2. 자동차 이름에 숨은 의미
3. 한중일 자동차 이름 짓기의 특성
4. 자동차 이름으로 보는 문화
5. 맺음말
Chapter 5. 자동차와 디자인
1. 서론
2. 자동차 디자인이란
3. 디자인의 최신 경향들과 자동차
4. 디자인과 자동차 과학
5. 제품디자인으로서의 자동차 디자인
Chapter 6. 자동차의 구조는 어떻게 되어 있는가?
1. 엔진
2. 타이어
3. 현가장치(suspension)
4. 조향 장치
5. 브레이크
6. 안전벨트
7. 에어백
8. ABS(anti-lock brake system)
9. EPS(electronic stability program)
10. 전기자동차
11. 하이브리드 자동차
Chapter 7. 자동차 엔진의 발달사
1. 자동차의 탄생
2. 내연기관의 태동- 4행정 피스톤 왕복운동 기관(1800년대 말~1900년대 초)
3. 초기의 발전(1900년대 말~1950년)
4. 자동차 대중화 시기(1950년~1970년)
5. 대기 오염과 연비(1970년~1990년)
6. 새로운 전환기(1990년대 이후)
7. 현대의 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