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복의 탄생 : 대한제국 서구식 문관대례복의 성립과 변천
발행연도 - 2012 / 이경미 지음 / 민속원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297489
-
ISBN
9788928503780
-
형태
285 p. 24cm
-
한국십진분류
사회과학
>
풍속, 예절, 민속학
>
의식주의 풍습
-
카테고리분류
역사/문화
>
주제별 역사
>
생활풍속/민속사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조선에서 서구식 대례복을 언제 처음 인식하였는지, 최초로 착용 경험을 가진 사람은 누구인지, 수용 과정과 이후의 변화과정은 어떠했는지를 다각도로 서술하고자 하였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머리말
제1장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의의
2. 연구방법
제2장조선후기 복식관과 서구식 대례복이 지닌 함의
1. 조선의 전통적 복식관
2. 서구식 대례복의 함의
제3장일본의 서구식 대례복 제도
1. 이와쿠라 사절단의 서구식 대례복 경험과 제안
2. 서구식 대례복의 제정 및 개정
3. 서구식 대례복의 결말과 고찰
제 4장서구식 대례복의 초기 인식과 경험
1. 서계문제를 통해 보는 서구식 대례복에 대한 최초 인식
2. 수신사, 조사시찰단의 일본에서의 양복 경험
제 5장조선의 의제衣制개혁
1. 갑신의제개혁
2. 갑오·을미의제개혁
3. 단발령
제 6장대한제국의 서구식 대례복 도입
1. 대한제국 초기 전통식 대례복 계승과 변화 모색
2. 원수부 선포와 황제의 서구식 대원수복 도입
3. 대한제국의 서구식 대례복 제도의 도입과 그 형태
제7장 대한제국의 서구식 대례복 제도의 변천
1. 서구식 대례복의 수정
2. 서구식 대례복의 개정과 분화
3. 대한제국 서구식 대례복의 정체성 상실
제8장 대한제국의 서구식 대례복 도입의 의의
1. 서구식 대례복 도입의 제 문제
2. 서구식 대례복 도입에 반영된 주체성
3. 서구식 대례복에 나타난 대한제국의 정체성
4. 국제 사회로의 진입
제9장 맺음말
국문초록
Abstract
日文抄錄
참고문헌
그림출처
찾아보기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