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신라수이전 소재 애정전기의 사생관
1. 서론
2. 애정갈등과 사생관
1) 「최치원」(쌍녀분, 선녀홍대)
2) 「지귀」(심화요탑)
3) 「수삽석남」
4) 「호원」(김현감호)
3. 결론
신라수이전의 서사범주와 그 의미 연구
1. 서론
2. 서사범주와 그 의미
1) 허구의 문제
2) 이원론적 서사장치의 질서
3) 시공세계에서의 만남
4) 현실과 비현실의 갈등
5) 세계인식과 삶의 가치
3. 결론
금오신화에 나타난 귀신의 매개역할과 작중인물의 별세계 지향
1. 머리말
2. 귀신과 세계설정의 양상
3. 귀신의 매개역할과 별세계지향
4. 맺음말
동아시아 전기소설의 연원과 전파
1. 머리말
2. 중·한의 전기소설
3. 일본의 전기소설
4. 베트남의 전기소설
5. 맺는말
동아시아 전기소설에 나타난 생사관의 미학
1. 서론
2. 동아시아 전기소설의 생사관
1) 한국의 『금오신화』
2) 중국의 『전등신화』
3) 베트남의 『전기만록』
4) 일본의 『가비자』
3. 동아시아 전기소설에 나타난 생사관의 미학
4. 결론
전기만록에 나타난 종교성과 서사기법
1. 서론
2. 『전기만록』의 종교성과 서사기법 논의 바탕
3. 『전기만록』에 나타난 종교성과 작품의 서사기법
1) 종교성과 서사범주
2) 종교성과 서사장치
4. 결론
허생전의 구조와 의미
1. 서언
2. 이용후생정덕과 생생의 법칙
3. 허생의 실천덕목과 실천행위
4. 결어
조선조 야담집 서발 연구
1. 서론
2. 갈래에 대한 관점
3. 야담 자체에 대한 관심
4. 당쟁과의 관련성
5. 결론
춘천 우두산 설화의 생성성 연구
1. 서론
2. 생성원형은 ‘솟을 뫼’
3. 신화와 풍수신앙에 따른 생성성
4. 결론
신숭겸 설화의 영웅적 형상화 연구
1. 서론
2. 신숭겸의 영웅적 생애
3. 신숭겸 설화의 영웅적 형상화와 의미
1) 신숭겸의 영웅적 기상과 무용담
2) 무덤에 얽힌 이야기
3) 팔관회와 도이장가, 차전놀이
4) 신격화 양상
4.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