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몽유도원도」에서 「매천 황현 초상」까지 조선의 옛 그림 60여 점의 의미와 작품 창작의 배경을 소개하고, 저자가 발견한 옛 그림 속 가르침을 한 권에 담았다. 이 책은 옛 그림으로 삶을 다잡아 온 한 중년 남성의 성장의 기록이자, 동년배에게 주는 권유의 메시지다. 저자는 옛 그림 보기야말로 자신을 찾아가는 과정일 뿐만 아니라 배움과 수행의 과정이라며, ‘옛 그림 수신론’을 역설한다.
목차
들어가는 말 옛 그림을 보는 것을 나 자신과 정면으로 마주하는 일
1부 절망으로 피워 낸 꽃
첫 번째 마음-그리움·연담 김명국, 설경별리도 - 떠나는 그리움이 남겨진 그리움에게
두 번째 마음-자신감·공재 윤두서, 유하백마도 - 어느 중년 선비의 자신감
세 번째 마음-책임감·탄은 이정, 풍죽도- 조선 민족을 닮은 대나무
네 번째 마음-애틋함·다산 정약용, 매화쌍조도·매조도- 딸들에게 보내는 편지
다섯 번째 마음-초탈함·현재 심사정, 딱따구리 - 세상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여섯 번째 마음-꿈꿈·안견, 몽유도원도 - 이룰 수 없는 꿈
옛 그림과 친해지기 1 준법에 대하여
2부 그래도 눈부시게 아름다운 삶
일곱 번째 마음-비움·추사 김정희, 수식득격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여덟 번째 마음-엄격함·공재 윤두서, 자화상 - 나는 누구인가
아홉 번째 마음-취흥·혜원 신윤복, 주사거배 - 서민들을 위로하는 선술집 풍경
열 번째 마음-진중함·겸재 정선, 계상정거도 - 지폐에 새겨진 운명과 인연
열한 번째 마음-축원·단원 김홍도, 황묘농접도 - 아버지의 고희를 축하합니다
열두 번째 마음-설렘·전 신윤복, 사시장춘 - 언제나 봄날처럼
열세 번째 마음-지극함·미수 허목, 월야삼청 - 달빛 아래 비는 소원
옛 그림과 친해지기 2 육법화론에 대하여
3부 살아 있는 모든 것들이 다 행복하기를
열네 번째 마음-쓸쓸함·단원 김홍도, 춘작보희·군작보희 - 존재가 바로 기쁨입니다
열다섯 번째 마음-간절함·겸재 정선, 인왕제색도 - 벗이여 제발
열여섯 번째 마음-은밀함·혜원 신윤복, 월하정인 - 아픈 이별만은 아니길
열일곱 번째 마음-충직함·남리 김두량, 긁는개·삽살개 - 소중한 것을 지키는 뜻
열여덟 번째 마음-사무침·작자 미상, 감모여재도 - 사무치는 그리움
열아홉 번재 마음-통렬함·석지 채용신, 매천 황현 초상 - 애국지사가 흘린 통곡의 눈물
참고한 책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