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와 국악방송에서 우리 음악의 대중화를 위해 노력해온 송지원이 우리 음악의 거장 52인을 소개한다. 가객 김중열, 문인 오희상, 발해 음악가 고내웅, 오디오형 가수 남학 등 우리 음악을 둘러싼 다양한 사연을 가슴에 품고 있는 사람들을 소개한다.
목차
머리말 묵어서 아름다운 이야기, 옛 음악인에게 말 걸기
一. 거문고와 가야금의 거장 손끝의 음악이 아닌 마음의 음악을 하라 - 거문고 연주로 도(道)를 찾은 문인 오희상 뛰어난 연주는 사람의 혼조차 멈추게 한다 - 성현의 거문고 스승 이마지 선율에 녹아든 세월의 깊이 - 아름다운 거문고 연주자 상림춘 심금을 울리는 거문고의 음률 - 이금사의 거문고 소리 고수는 고수를 알아보는 법이다 - 졸옹의 가야금 탄금대에 울려 퍼진 가야금 소리 - 우륵과 가야금 가야금을 배우려거든 장가 먼저 들거라 - 가야금 연주자 민득량 소중한 것은 내밀히 보존되어야 한다 - 거문고와 비판의 대가 김성기 늘그막에 비로소 짝이 있는 즐거움을 알았노라 - 금사 이원영 거문고 소리는 자신을 제어하게 한다 - 이승무와 거문고 문짝으로 만든 거문고 - 김일손의 탁영금
二. 시대를 울린 음악의 명인 대금으로 세상에 이름을 떨다 - 장악원 악공 허억봉 북벌을 믿은 명나라 궁녀의 애절한 비파 - 소현세자를 따라온 명나라 유민 굴저와 비파 옷을 백 번이나 기워 입은 가난한 학자 - 가난한 신라 음악가 백결 대금 소리로 단풍을 더 붉게 물들이다 - 대금 부는 사나이 억량 현악기 소리가 관악기 소리 같네 - 아쟁의 거벽 김운란 현악기도 아닌 것이 관악기도 아닌 것이 - 유우춘과 해금 재능이란 것이 숨긴다고 숨겨지겠는가 - 숨어 산 음악가 장천용 나를 찾는 모든 이들을 위해 음악을 연주하리다 - 송경운과 비파 나막신에 풀이 솟아오르다 - 정약대와 대금 꾸준한 연습이 대가를 만든다 - 대금의 신선 김계선
三. 노래에 취한 가객 학을 춤추게 한 18세기 가객 - 음악 천재 김중열 이상의 길로 현실을 끌어 올리다 - 여성 음악가 석개 마음은 입을 잊고, 입은 소리를 잊고 - 여성 음악가 계섬 그 어떤 폭풍우도 흐트러뜨리지 못하는 소리 - 서울 가객 송실솔 노래가 좋아 가족도 버리다 - 유학자 집안의 노래 명인 유송년 시인과 가객의 면모를 두루 갖추다 - 꽃을 사랑한 가객 김수장 가법이 드디어 체제를 갖추다 - 가객 장우벽 외모 뒤에 숨겨진 마음을 울리는 목소리 - 오디오형 가수 남학
四. 장악원의 음악 관리 시처럼 바람처럼 - 중종 대의 장악원 주부 정렴 음률을 알고 운치를 즐길 줄 아는 선비 - 정조 대의 장악원 제조 김용겸 음악성 있는 귀에는 듣지 않으려 해도 음악이 들린다 - 장악원 주부 허의 지천명에 찾은 새로운 음악 인생 - 장악원 직장 임흥 음악은 악보 속에서 영원히 빛난다 - 숙종 대의 궁중 음악 감독 한립 아악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 올리다 - 영조 대의 장악원정 이연덕
五. 이론가와 작곡가 발해 음악이 일본 궁중 음악이 되다 - 고구려 유민의 후손, 발해 음악가 고내웅 왕궁 안에 있는 신선이로다 - 고려시대 시조 작가 곽여 옛정을 생각하여 사랑해 주소서 - 「정과정곡」의 작자 정서 음악극을 기획한 자하동의 신선 - 고려시대 작곡가 채홍철 자연이 아름다운 것인지 사람이 아름다운 것인지 - 「관동별곡」의 저자, 안축 백성과 더불어 즐기노라 - 백성 사랑하는 마음을 음악으로 담아낸 세종 시간은 좋은 음악을 고전으로 혹은 명품으로 만든다 - 「귀거래사」의 작곡가 강장손 홀로 태평의 즐거움을 누리다 - ≪악학궤범≫의 저자 성현 어찌 내 거문고 소리를 귀로 들으랴 - ≪현금동문류기≫의 저자 이득윤 음악은 즐기는 것이 아니라 닦는 것이다 - 음악 이론가 정조 뛰어난 음악적 재능을 타고난 왕 - 절대 음감의 소유자 세조
六. 후원자와 감식가 800년간 전해진 역사 깊은 거문고 - 허목이 소장한 신라 경순왕의 거문고 음악 문화의 토양을 풍성하게 가꾸다 - 연암 박지원의 음악 사랑 음악은 즐기는 것이다 - 성대중이 묘사한 18세기 음지의 음악 유희 줄풍류 음악이 빚어낸 천상의 음률 - 양금을 우리나라 음조로 풀어 낸 담헌 홍대용 풍악은 하늘을 울리고 노랫소리는 구름에 닿았다 - 심용과 그의 연주단 악기를 배우려면 좋은 선생에게 제대로 배워야 한다 - 조선 후기 음악 후원자 서상수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멋과 품격이 있는 인생2022 / 지음: 박한철 / 북랩
국악과 세시풍속, 춘하추동2012 / 박혜정 지음 / 민속원
국악과 세시풍속, 춘하추동2012 / 박혜정 지음 / 민속원
한국의 전통악기2003 / 손태룡 [저] / 영남대학교 출판부
한국 전통음악의 전승 양상2008 / 宋芳松 著 / 보고사
장악원, 우주의 선율을 담다 : 처음으로 읽는 조선 궁중음악 이야기2010 / 송지원 지음 / 추수밭
장악원, 우주의 선율을 담다 : 처음으로 읽는 조선 궁중음악 이야기2010 / 송지원 지음 / 추수밭
한국 음악의 거장들 : 그 천년의 소리를 듣다2012 / 송지원 지음 / 태학사
한국음악형성론 = (The) formation of Korean music2012 / 오용록 지음 / 민속원
한국음악형성론 = (The) formation of Korean music2012 / 오용록 지음 / 민속원
우리 음악 어디 있나 : K-팝의 뿌리2011 / 이동식 지음 / 허원미디어
우리 음악 어디 있나 : K-팝의 뿌리2011 / 이동식 지음 / 허원미디어
(재미있는)우리 국악 이야기2006 / 지음: 이성재 / 서해문집
(재미있는)우리 국악 이야기2006 / 지음: 이성재 / 서해문집
율려미학과 악기 2019 / 지음: 이종진 / 한국학술정보
같이 빌린 책
음악이론과 분석2005 / 김연 편 / 심설당
같은 주제의 책
국악과 세시풍속, 춘하추동2012 / 박혜정 지음 / 민속원
(국악으로의 초대) 우리가 몰랐던 우리음악 이야기 2018 / 박소영 지음 / 구름서재
한국음악형성론 = (The) formation of Korean music2012 / 오용록 지음 / 민속원
판소리 득음 연구2013 / 김정태 지음 / 민속원
(주해)동편제 박봉술 춘향가2015 / 송재익 엮음 / 민속원
조선민요 아리랑 : 민족의 가락, 애환의 선율2012 / 윤수동 지음 / 국학자료원
경기도의 토속민요2013 /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 편 / 민속원
판소리 길라잡이2009 / 최동현 지음 / 민속원
경기 12 잡가 : 근대 서민 예술가들의 노래2013 / 지은이: 이춘희 ; 배연형 ; 고상미 / 예솔
황윤석의 학문과 음악2016 / 지음: 성영애 / 學古房
일제강점기의 판소리 문화 연구2013 / 이태화 지음 / 박이정
한민족의 소리를 만나다2011 / 윤행석 글.사진 / 심미안
우리 시대의 가무악 : 전통을 이어가는 예인들2012 / 정범태 ; 정운아 공저 ; 정범태 사진 / 눈빛
황병기 연구 : 한국 전통음악의 지평을 넓히다2014 / 지음: 앤드류 킬릭, 옮김: 김희선 / 풀빛
(사람이 있는 곳에)흘러라 우리 음악 : 국악 길잡이 따라 우리 음악 대장정2011 / 남화정 글 ; 홍선주 그림 / 낮은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