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동네에너지가 희망이다>의 저자 이유진은 에너지 문제에 대한 인식 자체를 완전히 바꿔 보자고 제안한다. 화석연료와 원자력에너지 말고 다른 대안은 없는지, 있다면 어떤 것인지, 그 대안이라는 것이 현실 가능한 것인지, 가능하다면 실제로 그렇게 살고 있는 사람들은 있는지, 우리 마을이나 우리집에서도 그런 에너지로 살아갈 수 있는지 등 지금 사람들이 궁금해 할 질문들에 상세하게 답한다.
목차
추천하는 글 - 사람들 사이의 평화 없이 자연과의 평화도 없다 / 이현민[〈부안시민발전소〉소장]
책머리에 - 지역 에너지, 에너지 독립을 이루는 길
1부 해답은 지역 에너지에 있다!
2부 우리나라의 지역 에너지
1. 에너지 자립 마을 ‘완소지대’- 산청 〈민들레공동체〉와 〈대안기술센터〉
2. 학교에서 만나는 로컬 푸드, 로컬 에너지 - 무주 〈푸른꿈고등학교〉와 의왕 〈더불어가는배움터 길〉
3. 지역 에너지를 실현하는 사회적 기업 - 〈에너지팜〉, 〈한국에너지복지센터〉, 태백 〈바이오펠릿사업단〉
4. 핵폐기장 대신 시민발전소 - 부안 등용 마을과 〈변산공동체〉
5. 에너지 자립 마을 만들기의 모범 답안 - 임실 중금 마을
6. 에너지 자립 사찰, 에너지 생산 교회 - 마곡사와 청파 교회
7. 연대 사람들, 준비됐나요? 자, 갑시다! - 화석에너지 제로 섬, 통영 연대도
8. 에너지 자립을 향한 도민들의 열정과 실천 - ‘제주에너지특별자치도’를 만들다
3부 세계의 지역 에너지
1. 석유 고갈과 기후변화에도 끄떡없다 - 오스트리아의 무레크와 귀씽
2. 시민은 에너지 생산자 - 독일의 모바크, 윤데, 그리고 트리어 대학교
3. 에너지 생산보다 중요한 에너지 디자인 - 일본 오가와마찌와 이이다시
4. 도시의 에너지 자립은 이렇게 - 영국 런던
5. 태양광 온수기를 가전 제품처럼 - 중국 더저우
4부 지역 에너지, 어떻게 만들까?
1. 저탄소 녹색마을 6백 개 어떻게 만들어야 할까?
2. 도시에서 저탄소 녹색 마을 만들기
3. 에너지 자립 마을 밑그림 그리기
4. 마을 주민들이 주인공이 되는 에너지 워크숍
부록
참고 문헌
지역 에너지 관련 홈페이지
용어 설명
고마운 분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