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쟁기의 언론과 문학 = Journalism & literature in war : World WarⅡ~ Korean War
발행연도 - 2012 / 정진석 지음 / 소명출판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287603
-
ISBN
9788956267272
-
형태
385 p. 24 cm
-
한국십진분류
총류
>
신문, 저널리즘
>
-
카테고리분류
에세이/시/희곡
>
한국문학
>
한국문학의 이해
책소개
언론과 문학은 경계를 긋기 어려울 정도로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일제 강점기와 광복 이후 6ㆍ25전쟁 시기에는 언론인이면서 문인, 문인이면서 언론인으로 활동했던 사람이 많다.
목차
책머리에
제1부 해방공간 6ㆍ25 전쟁기의 언론
제1장 좌익 언론과 언론인들
1. 미군정기 남한의 언론 상황
2. 남한의 좌익언론
3. 공산당 기관지와 좌익 언론인들
4. 우익을 향한 공격
5. 좌익지의 몰락
제2장 남침 전쟁에 동원된 언론인
1. 광복 직후 북한의 신문
2. 전쟁 직후의 신문과 언론인들
3. 전쟁 중의 신문과 언론인들
4. 전쟁 종군기자들
제3장 북으로 간 언론인과 문인들
1. 자진 월북파
2. 두 갈래 운명
제4장 정치재판과 피의 숙청
1. 연출된 재판 예정된 결말
2. 피고는 사형, 가족은 알거지로
제2부 태평양 전쟁기 문학과 언론의 수난
제1장 김진섭의 반전(反戰)기사 필화와 문인들
1. 매일신보와 경무국 도서과
2. 후유증과 시대상황
제2장 단파방송 수신사건과 옥사한 두 언론인
1. 유언비어 유포죄
2. 역사학자가 된 문석준, 미국 석사 홍익범
제3장 일제 고등경찰 사이가의 최후
1. 독립운동가 고문으로 악명
2. 죄값으로 피살
제3부 전쟁 후유증과 친일문제
제1장 월북 언론인 이갑섭의 ‘조보’ 연구
1. 남북한의 조보 연구
2. 북한의 언론사 연구
제2장 문둥이 시인 한하운과 올챙이 기자 오소백
1. “피빛 기빨이 간다”
2. 전쟁 후의 ‘문화 게릴라’ 논쟁
제3장 여운형의 ‘친일’과 조선중앙일보의 폐간
1. 장지연과 여운형의 ‘친일’
2. 친일의 형평성 문제
참고문헌
색인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