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1부 도서민요의 연행
1장《도서지역 민요》와 민속문화정보
I. 머리말
II. 민요와 문화정보, 그리고 정보자원화
III.《도서지역 민요》의 민속문화정보적 실상
IV.《도서지역 민요》의 디지털 문화적 의미
V. 맺음말
2장 도서·연안지역 민요공동체의 성격과 민요의 연행양상
I. 머리말
II. 도서·연안 지역 민요공동체의 성격
III. 도서·연안 지역 민요의 연행양상
IV. 도서·연안 지역 민요공동체의 민요연행사적 의의
V. 맺음말
3장 민요공동체의 문화권역적 전개와 지역문화적 특성 - 산다이를 중심으로 -
I. 머리말
II. 민요공동체의 문화권역적 전개
III. 민요공동체의 지역문화적 전개
IV. 민요, 민요공동체, 마을의 삼자관계와 사적 가치
V. 맺음말
4장 하의도 이홍채 소리꾼의 교차적 공간확장과 소통적 문화행위
I. 머리말
II. 하의도 이홍채 소리꾼 삶과 소리
III. 이홍채 소리꾼의 교차적 공간확장
IV. 이홍채 소리꾼의 소통적 문화행위
V. 맺음말
2부 도서민요의 활용
1장《도서지역 민요》와 문화관광-<신안민요>·<완도민요>·<진도민요>를 중심으로-
I. 머리말
II. 민요와 문화관광, 그리고 관광자원화
III.《도서지역 민요》의 관광자원화 가능성
IV.《도서지역 민요》의 관광자원화 현실성
V. 맺음말
2장《신안민요》의 언어문화적 접근과 소리문화적 활용-<지도민요>·<증도민요>·<임자도민요>를 중심으로 -
I. 머리말
II.《신안민요》의 지역적 분포
III.《신안민요》의 언어문화적 접근
IV.《신안민요》소리문화적 활용
V. 맺음말
3부 도서민요의 등재
1장 서해 도서지역의 구비전승물과 해양정서 -조기를 중심으로-
I. 머리말
II. 구비전승물과 해양정서, 그리고 문화정책
III. 서해 도서지역 구비전승물의 해양정서적 실상
IV. 서해 도서지역 구비전승물의 해양문화사적 의의
V. 맺음말
2장 서해바다 황금갯벌의 구비전승물과 해양정서
I. 머리말
II. 민속문화정보와 구비전승물
III. 구비전승물의 해양정서
IV. 구비전승물의 해양문화사적 의의
V. 맺음말
3장 남해 도서지역의 구비전승물과 해양정서 - 멸치를 중심으로 -
I. 머리말
II. 남해 도서지역 멸치잡이 어로문화자원의 개별성과 일반성
III. 남해 도서지역 구비전승물의 해양정서
IV. 남해 도서지역 구비전승물의 해양문화사적 의의
V. 맺음말
4장 한반도 도서지역 문화자원의 등재적 접근 - 구비전승물을 중심으로-
I. 머리말
II. 문화자원의 성격과 등재의 조건
III. 구비전승자원에의 접근과 등재의 성과
IV. 문화권역의 전개와 등재의 과제
V.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