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근대적 자아의 이해 : 홉스와 헤겔 = Hobbes Hegel on the modern self
발행연도 - 2012 / 김용찬 지음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284838
-
ISBN
9788952113221
-
형태
ix, 245 p. 23 cm
-
한국십진분류
사회과학
>
정치학
>
-
카테고리분류
인문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홉스와 헤겔, 자아의 창조적 능력에 주목하다. 이 책에서 저자는 근대 정치사상가로서 헤겔과 홉스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주목하고 그것이 지니는 정치적 함의를 제시한다. 이들은 자아가 세계 속에서 자신의 본질을 규정하는 주체가 되며 모든 정치적 권위는 이런 자아의 창조적 능력에서 비롯된다는 공통된 견해를 갖고 있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머리말
I. 서언
II. 고전 정치철학의 전통, 홉스 그리고 헤겔
1. 고전 정치철학의 전통
2. 고전 정치철학의 전통과 홉스
1) 인간에 대한 이해
2) 정치철학에 대한 이해
3. 고전 정치철학의 전통과 헤겔
1) 홉스에 대한 헤겔의 평가
2) 홉스에 대한 헤겔의 평가가 갖는 의미
3) 홉스와 헤겔의 관계
III. 실천철학에 대한 홉스와 헤겔의 이해
1. 홉스의 실천철학
2. 칸트의 실천철학
3. 칸트의 실천철학에 대한 헤겔의 평가
4. 헤겔의 실천철학
IV. 홉스와 헤겔의 차이로서 ‘인정’ 개념
1. 헤겔의 ‘인정’에 대한 오해와 이해
1) 헤겔의 ‘인정’에 대한 무관심
2) 헤겔의 ‘인정’에 대한 오해와 왜곡
3) 헤겔의 ‘인정’에 대한 이해
2. 헤겔의 ‘인정’에 대한 오해와 그 비판
1) 코제브
2) 사르트르
3) 페미니즘
4) 들뢰즈
5) 데리다
6) 레비나스
V. 결어: 탈근대 시대의 홉스와 헤겔
참고문헌
찾아보기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