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행복 사회를 위한 작은 혁명으로 강수돌 교수가 제안하는“경제와 사회의 녹색혁명.” 이 책에서 저자 강수돌 교수는 우리 모두가 ‘3중의 위기’ 시대를 살고 있음을 지적한다. 이 3중의 위기는 일의 위기, 땅의 위기, 정신의 위기다. 그렇다면 이 위기를 어떻게 해야 넘어갈 수 있는가에 관하여 논의한다.
목차
서문 행복 사회를 위한 작은 혁명
I. 경제와 사회를 보는 새로운 관점
1. 경제와 사회, 그리고 생활문화-경제위기에 대한 비경제주의적 이해
들어가는 말
경제위기와 수출지상주의
경제위기와 애국주의
경제위기와 외자 유치
경제위기와 중독성 강한 기업문화
경제위기와 사회심리
총체적 삶의 위기에 대한 대안 모색
2. 경제위기와 삶의 위기
경제위기는 없다?
돈벌이 경제의 파탄
삶의 위기1-먹거리 위기
삶의 위기2-고용 불안과 양극화
삶의 위기3-부채 및 자살의 증가
삶의 위기4-사회적 약자 대변 목소리의 부재
삶의 희망은 어디에?
3. 철거와 재개발, 대안은 없는가?
소설 『난쏘공』 및 영화 <똥파리>에 나타난 철거와 재개발 문제
천문학적 개발 이익의 원천
대안 모색의 실마리
4. 일중독, 성장중독증, 그리고 중독 정치
언론 탄압-눈과 귀와 입을 막는다고 아우성을 치지 못하는 건 아니다
경제위기, ‘마이너스’ 성장의 시대?-굳이 두려워 할 이유 없다!
신판 노예제, 비정규직-기간을 연장한다고 노예가 아닌 것은 아니다!
수능성적 공개와 교육감 선거-진정한 교육은 어디에?
마키아벨리 공식과 삽질의 경제-망국의 지름길이 아닌지 성찰하라!
사당동 더하기 22, 용산 참사, 흉물 아파트-‘개발 중독’ 사회의 종말은?
II. 노동사회를 넘어 문화사회로
5. 노동중독 사회와 주5일 근무제
노동중독 사회
세 가지 테러
‘자기 테러’로서의 노동중독증
노동시간 단축 논의의 공허함
노동(중독)의 거부: 주5일 근무제의 본질
희망의 시스템 만들기
6. ‘참여정부’의 경제주의 비판과 대안경제의 전망
무엇이 문제인가?
참여정부의 ‘참여’가 의미하는 것
‘경제’의 본원적 의미
참여정부의 ‘경제주의’ 비판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대안경제’의 희망
7. 문화사회와 노동: 노동과정과 노동운동의 재구성
머리말
문화사회론의 시각
문화사회와 노동: 노동과정과 노동운동의 재구성
맺는 말
8. 노동사회를 넘기 위한 노동의 실천
노동사회와 노동운동
노동사회의 모순을 넘기 위한 실천 사례
평가와 토의-결론에 대신하여
III. 녹색혁명의 실천
9. 독일의 생태주의: 이론과 실제
서론
독일의 생태주의 사상과 이론
독일 생태주의의 실제
결론-독일에서 배우기
10. 이윤과 권력을 넘어서는 레츠 운동
들어가는 말
레츠의 유래
레츠의 원리와 특징
레츠의 한계와 논쟁점
맺는 말
11. 녹색 성장을 하려면 녹색 성장을 버려라
“녹색 성장”이라는 화두? 도발?
“녹색 성장” 뜯어 보기
“녹색 성장”은 과연 구제 불능인가?
녹색 대안 경제의 전망과 방향
12. 노동운동의 생태주의적 대전환: 과제와 전망
‘총체적 위기’의 시대
현실과 본질의 정직한 인식
왜 노동운동은 생명운동과 연대하기 어려운가?
노동운동의 생태주의적 대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