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의 글 / 김영호[유한대학교 총장], 윤용로[IBK기업은행장]
들어가며 ‘적정 이익’보다 ‘이익의 질적 성격’을 ‘큰 이익’보다 ‘좋은 이익’을
프롤로그 투자의 우상과 이성 - 전환시대의 투자 원칙
1장 사회책임투자란 무엇인가
사회책임투자의 역사
사회책임주타 개념에 대한 다양한 해석들 - 장님 코끼리 만지기에서 퍼즐 맞추기로
사회책임투자의 선구자 존 웨슬리, 그가 던진 메시지
사회책임투자가 걸어온 길 - ‘주변부’에서 ‘중심부’로 이행
공존과 상생의 투자
자본과 노동의 매개체인 사회책임투자
사회책임투자의 키워드, ‘다양성 존중하기’
사회책임투자는 좋은 투자
패스트푸드 투자의 가정식家庭食 투자
사회책임투자의 다른 이름, 원칙투자 - 이해관계 및 주관성 상추의 극복 방안
2장 이제는 지속가능경영이다
지속가능경영은 주주이익과 이해관계자이익의 절충
새로운 패러다임, 새로운 문제제기 - ‘주주 이론’에 대항하는 ‘이해관계자 이론’
주주 이론에 대한 오해들
두 이론의 발전적 통합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의 역기능을 경계하며
기업의 이익과 공익이 양립할 수 있을까
몇 가지 의심 사례들
CRS 관련 저부기능 강화되어야
지속가능경영의 이해
양심과 양보라는 이름의 신호등
자유시장경제의 구루, 밀턴 프리드먼을 추모하며
산책로와 음악회장의 사회책임
지속가능경영은 기업에게 이익이 되나
사랑 주는 기업, 사랑받는 기업
투자의 두 마리 토끼 사냥
삼성 비자금과 시장의 ‘보이지 않는 귀’
창조적 자본주의 Creative Capitalism는 기업의 신성장 동력
금융의 사회책임경영
국내 은행들의 사회책임경영
증권회사의 원초적 사회책임이란?
3장 왜 장기투자인가
기업경영은 장기 레이스
‘마쓰시타’로부터 배우는 생각의 장대함
장기적 실용주의를 제안하며
장기투자는 사회책임투자의 키워드
장기적 관점에서 단기 이슈를 바라보는 것
투자, 하룻밤 데이트에서 평생 사랑으로
사회책임투자는 구명조끼의 장거리 수영법
결국 주범은 단기주의
연금펀드의 합창법
4장 새로운 투자분석틀이 등장하다
보이지 않는 가치를 찾아서
ESG 정보공개는 분석의 출발점
투자의 ‘지덕체智德體’
안방에서 벌어진 그들의 잔치
기후변화도 투자의 소재다
진정한 녹색투자의 조건은 위험을 판별하는 것
칼 아이칸과 현대차 노조 문제의 공통점
새로운 잣대 찾기
세상을 바꾼 ‘아름다운 야망’ - 새로운 기준 GRI 설립 주역, 매씨 박사 이야기
줄자와 구경자전거
주식투자자들의 숙면법 - 주식형 펀드 고르는 법
투자자여! 인권도 분석하라
비피(BP) 사태, 투자자들에게 주는 교훈
‘엔론’과 ‘코리아 디스카운트’
비피BP, 멕시코만의 재앙
투자자들에게 주는 교훈은 무엇인가
SRI지수 평가와 이해상충을 생각하며
과외선생님의 시험평가
다시 엔론Enron을 기억하며
신용평가사의 이해상충을 떠올리며
우리나라 사회책임투자 업계를 생각하며
5장 의결권은 자산이다
주주들은 행동한다
ESG 이슈에 대한 주주행동주의
주식시장의 참여민주주의
고래 사냥과 판다 보호 캠페인
‘꽃’의 투자론
캘퍼스 효과를 아십니까?
헤르메스의 주인 투자론 - “우리는 주주가 아니라 기업의 주인이다!”
6장 사회책임투자의 실천가들
주류 투자자들의 사회책임투자법
워렌 버핏은 사회책임투자자
앨 고어의 또 다른 불편한 진실
모리와 샘의 투자법
에필로그
본문에서 추출한 생각해 볼만한 내용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