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SM, JYP, YG… 그들은 어떻게 전 세계에서 통하는 한류 콘텐츠를 만들었을까? 킬러 콘텐츠를 만들어나가는 과정에서 어떻게 의사결정을 하는지, 그리고 어떤 치밀한 전략으로 위기를 극복해나가는지 화려한 스타들의 모습 이면에 숨어 있는 전략을 생생한 사례를 통해 보여준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프롤로그 ‘죽이는’ 콘텐츠에 목숨 거는 사람들
1. 항상 야생성을 기억하라
생존을 위해선 핵심역량도 바꾼다 _ 브라운아이드걸스의 ‘아브라카다브라’
브라운아이드걸스의 변신, 변절인가 혁신인가
변화가 두렵다면 생존할 수 없다
모든 것을 걸어서라도 반드시 성공해라
프리미엄을 버리고 야생에서 생존하라 _보아, 동방신기의 일본 도전기
한일 동시 데뷔를 성공시킨 보아
동방신기, 톱스타의 프리미엄을 버리다
다국적 전략으로 문화 장벽을 넘다
절박함이 때론 최고의 무기
창업자의 전문성을 오랫동안 유지하라 _JYP 박진영의 딴따라 철학
도전을 즐기는 딴따라, 박진영
현장에서 떠나는 순간 초심도 잃는다
가능한 전문 영역에 오래 머물러라
모든 문제의 답은 한곳에 있다 _공연계의 흥행 보증수표, 김장훈과 싸이
위기를 기회로 만든 김장훈과 싸이
자기 확신이 있다면 틈새시장은 있다
위기 탈출 해법, 현장에 있다
2. 스트리트 스마트를 활용하라
첫째도 재미, 둘째도 재미! _케이블 신화 〈슈퍼스타K2〉
〈슈퍼스타K2〉, 시청자를 홀리다
고객과의 심리전에서 이기는 법
고객이 원하는 것에만 집중하라
정공법이 항상 답은 아니다 _2AM의 깝권 신드롬
우회 전략으로 살아남은 2AM
고객이 사고 싶은 것부터 팔아라
생존 없이는 기회도 없다
팔 우물이 하나만 있는 것은 아니다 _애프터스쿨의 유닛 활동
애프터스쿨, 변신의 끝은 어디인가
한우물 파기의 득과 실
한계를 깨닫는 순간이 바로 출발점이다
기술로 다가온 위기, 기술로 극복하라 _한류 열풍과 SNS
K-POP, 기술에 죽고 기술에 살고
파리에 모여든 유럽의 한류팬들
콘텐츠 기업, 인터넷 기업에 한판승!
51 대 49, 결정의 법칙 _김태원, 임재범의 예능 성공기
로커의 자존심이냐, 재기가 먼저냐
뒷다리 잡기 달인들을 조심하라
가능성에만 집중해도 시간이 모자라다
최고의 맨파워를 만드는 힘 _아이돌의 새로운 표준, 빅뱅
빅뱅 멤버 선발의 비밀
똑똑한 자원 배분이 경쟁력을 만든다
스트리트 스마트하게 배분하라
3. 고객을 팬으로 만드는 비밀
고객과 지지지를 동일하게 만들어라 _아이돌 그룹의 티켓 파워
아이돌 팬클럽의 힘
불만고객과 충성고객은 종이 한 장 차이
정서적 교감이 지지자를 만든다
자발적 참여의 기회를 제공하라 _팬들의 세상이 된 OSMU
동방신기 유노윤호 도시락
낚으려면 제대로 낚아라
자발적 참여를 만드는 힘
오랜 기간 1위를 독점하기 위한 조건 _걸그룹 시장 최강자, 소녀시대
소녀시대, 그들이 강할 수밖에 없는 이유
레드오션일수록 1등 전략이 중요하다
감성 디테일을 최대한 살려라
감정이입이 매력도를 높인다 _한류 열풍과 OST 붐
OST가 사랑받는 이유
만국 공통어, 감정을 활용하라
공감각적 심상이 시너지를 만든다
디지털을 빼거나 아날로그를 더하거나 _연예계 복고열풍
UV, 새로운 감성을 덧입히다
언제 어디서나 통하는 아날로그의 힘
생각의 전환, 디지로그
4. 즐기는 자가 승리한다
행복지수가 창의력의 바로미터 _엔터테인먼트 리더의 일하는 방식
취미가 일이 되는 현장
일이 재미없으면 조직을 재미있게 만들어라
작은 보상들이 더 효과적이다
모두가 주인이 되는 회사 _YG엔터테인먼트와 양현석 리더십
YG는 회사인가 패밀리인가
‘의리’는 비즈니스 제1의 자산
주인의식에는 주인이 없다
면접은 꿈 거래 장터 _SM엔터테인먼트 오디션
SM식 캐스팅의 비결
면접은 꿈을 사고파는 곳이다
오디션의 기회를 제공하라
일단 말부터 통해야 산다 _아이돌 리더 공식
지드래곤, 조권, 태연의 공통점
똑똑한 리더보다 말 통하는 리더가 낫다
실수도 창의적일 수 있다
5. 히말라야에서 경쟁하라
경쟁이 곧 경쟁력 _세계 최고 한국의 걸그룹들
소녀시대와 카라, ‘가와이 문화’를 넘다
스스로 글로벌 스탠더드가 되라
치열한 경쟁이 자양분이다
경쟁하되 기본은 지킨다 _한국 엔터테인먼트 시장의 특성
엔터테인먼트업계에 사람들이 몰리는 이유
경쟁자보다 더 두려운 존재
죄수의 딜레마에서 벗어나라
좋은 것을 넘어 위대한 것을 향해 _가왕 조용필이 위대한 이유
한국 가요계의 전설, 조용필
좋은 것에서 머무르지 마라
레전드의 조건
지속가능성을 위하여 _최고 작곡가의 생존전략
창작의 샘에는 정해진 양이 있다?
착해야 살아남는 시대
엔터테인먼트업계의 지속가능한 미래
감사의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