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_ 참사람의 眞面目
제1부 선시론
머리말을 대신하여 현대 선시에 대한 나의 생각
선시와 아방가르드
현대 선시의 새로운 기미-이승훈 시집『人生』을 중심으로
제2부 格外詩話
제1화 허공을 노니는, 함허
제2화 하늘엔 구름 병 속엔 물 雲左靑天水左甁
제3화 입에다 풀 한줄기 물고 오너라 銜一莖草來
제4화 파초의 주장자 芭蕉 拄杖子
제5화 소를 타고 다시 소를 찾네 騎牛更覓牛
제6화 뿌리도 포기도 없는 사람을 밥이 생명이다 人無根株 以食爲命
제7화 부처를 태운 단하 丹霞燒佛
제8화 복사꽃 한 번 보고 난 뒤에 靈雲之一見桃花後
제9화 조주의 구순피선 趙州口脣皮禪
제10화 청풍이 태고로부터 불어오네 淸風吹太古
제3부 선시의 백미, 심우송 그대로 읽기
1. 심우송의 원류를 찾아
2. 보명의 심우송과 확암의 심우송
1) 보명의 십우송
2) 확암 지원의 십우송
3. 한국의 심우송
1) 경허의 심우 10송과 설악의 심우송
2) 경허의 심우 8송과 만해의 심우송
4. 심우송 법문
1) 경허의 심우송 법문
제4부 선시의 현대적 읽기에 대한 이해와 오해
토론 프리즈나(prajna)의 현대적 탐색 : 이 교수의「선과 쟈크 데리다·새로운 격의 불교의 모색」에 대한 논변
『현대불교신문』신춘 대담
제5부 서래밀지의 실참실수에 관한 보고
1. 나의 스승 서옹 스님
2. 선의 계보
3. 깨달음, 황당함에 관한 메모
4. 깨달음에 관한 몇 가지 단상
1) 유식론의 입장에서 본 깨달음
2) 修證에 관한 보조의 충고와 성철의 고창
3) 『禪要』에 나타난 깨달음
4) 선과 양자물리학의 배대
5) 垂示 本則 拈頌 着語 評唱으로 드러낸 禪의 公案
6) <염화시중 미미소>의 공안 펼쳐 읽기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