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출인기
불교사회학 = Buddhist sociology of buddhism : 불교와 사회의 연기법적 접근을 위하여
발행연도 - 2010 / 유승무 지음 / 박종철출판사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243857
-
ISBN
9788985022545
-
형태
253 p. 24 cm
-
한국십진분류
종교
>
불교
>
포교, 교육, 교화활동
-
카테고리분류
인문
>
신화/종교학
>
종교학
책소개
포교사회학과 교수이자 불교사회과학연구소 소장인 유승무 교수의 책. 저자는 기존의 종교사회학의 성과를 검토한다. 베일리와 마벳의 공저인 <초기 불교의 사회학>, 베버의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벨라의 <도쿠가와 종교>등의 저작이 그 대상이다. 필자는 한국 불교가 배타성을 보이지 않고 다른 종교나 현대적 사회제도와 서로 영향을 주고받을 수 있다고 본다.
목차
책을 내며
제1장 서론
1. 붓다 시대 인도 북부의 사회변동
2. 붓다의 가르침과 신분 차별의 철폐
3. 초기 불교와 사회의 관계 -『초기 불교의 사회학』을 중심으로
4. 불교와 사회의 상호변용에 접근하기 위하여
1) 종교와 사회의 관계에 대하여
2) 종교사회학의 기본 가정에 대하여
5. 이 책의 구성에 대하여
제1부 불교사회학이란 무엇인가?
제2장 불교사회학의 연구 대상
1. 불교사회학의 연구 대상 설정의 필요성
2. 불교사회학의 연구 대상
1) 불교의 사회적 재생산 영역
2) 불교 공동체 내부의 사회현상
3) 불교와 사회의 상호작용
3. 불교사회학과 인근 학문
1) 불교사회학과 불교학
2) 불교사회학과 사회학
3) 불교사회학과 기타 인근 학문
제3장 불교사회학의 연구 방법
1. 불교사회학 방법론 정립을 위한 방법론
2. 사회학 방법론의 쟁점과 특성
1) 과학철학적 쟁점
2) 조사 방법의 특성
3. 불교의 사회학 방법론적 함의
1) 존재론적 함의
2) 인식론적 함의
3) 당위론적 함의
4. 불교사회학의 연구 영역별 조사 방법
1) 불교의 사회적 재생산과 서베이
2) 불교 공동체 내부의 사회현상별 조사 방법
3) 불교와 사회의 관계와 이차 자료 분석법
제2부 불교와 사회 발전
제4장 불교와 자본주의적 발전의 지체 -베버의 대승불교론을 중심으로
1. 왜 베버인가?
2. 베버의 동양 사회론의 위상과 대승불교 연구
3. 대승불교 성립에 대한 베버의 해석
1) 지배층과 대승불교
2) 경제적 조건과 대승불교
3) 평신도와 대승불교
4. 대승불교의 이념 구조와 사회적 기능에 대한 베버의 해석
1) 대승불교의 이념 구조에 대한 해석
2) 대승불교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해석
5. 베버의 대승불교론에 대한 비판
1) 베버의 불교관 일반에 대한 비판
2) 베버의 대승불교론에 대한 비판
제5장 불교, 국가, 경제발전 - 벨라의『도쿠가와 종교』
1. 벨라의『도쿠가와 종교』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2. 『도쿠가와 종교』의 이론 틀
1) 문제의식
2) 개념 틀
3) 이론 구조
3. 『도쿠가와 종교』의 불교사회학적 재구성
1) 불교의 합리화
2) 불교와 정체政體
3) 불교와 경제
4. 『도쿠가와 종교』의 의의와 한계
1) 학문적 의의
2) 근본적 한계
제3부 불교와 사회변혁
제6장 붓다와 맑스의 ‘동몽이상’
1. 왜 붓다와 맑스주의인가?
2. 붓다와 맑스의 동몽同夢 - 이상 사회를 향한 꿈
3. 붓다와 맑스의 이상異床 - 수단 및 방법의 차이
1) 불교의 상床
2) 맑스주의의 상床
3) 상床의 차이 - 출가자의 인정투쟁과 노동자의 계급투쟁
4. 붓다와 맑스의 공존 가능성
1) 맑스의 종교관과 불교
2) 불교와 맑스주의의 공존 조건
제7장 참여불교와 다중적 근대성
1. 불교와 현대 문명의 만남
2. 만남의 유형
3. 또 다른 만남 - 참여불교의 실험
1) 참여불교의 등장 배경
2) 참여불교의 다양한 형태
3) 참여불교의 특징
4. 만남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1) 탈근대?
2) 다중적 근대성 또는 불교적 근대성
5. 만남의 전망
제4부 연기체 사회학을 향하여
제8장 연기체 사회학의 이론적 정초
1. 새로운 패러다임의 필요성
2. 상즉상입 개념과 그 사회학적 해석
3. 상즉상입의 불교사회학의 학문적 성립 요건
1) 상즉상입의 불교사회학의 연구 대상
2) 상즉상입의 불교사회학의 연구 방법
4. 상즉상입의 불교사회학의 의의와 문제점
1) 상즉상입의 불교사회학의 의의
2) 상즉상입의 불교사회학의 문제점
제9장 한국 불교와 사회제도의 연기체
1. 토착적 현대성과 연기체적 접근의 필요성
2. 연기체와 그 연기법적 접근
3. 불교와 다른 종교 및 사회의 상호변용
1) 한국 사회의 종교적 혼종성과 불교와 다른 종교의 상호변용
2) 불교와 사회제도의 상호변용
4. 결론
제10장 중도와 ‘또 다른 진보’의 연기체
1. 대안적 사회 모델을 찾아서
2. 기존의 진보 이론과 아시아적 가치론에 대한 비판
1) 기존의 진보 이론 비판
2) 아시아적 가치론 비판
3. 욕망과 자본주의의 악순환, 그리고 그 한계
1) 욕망과 자본주의의 악순환
2) 악순환의 한계
4. 중도와 ‘또 다른 진보’의 선순환
1) 발상의 전환 : 악순환에서 선순환으로
2) 불교의 욕망 방정식과 중도
3) ‘또 다른 진보’의 규범적 재구성
참고문헌
찾아보기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1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1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