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모빌리티인문학 총서 4권. 모빌리티를 사유하는 동서양의 사상과 인문학적 사유를 담은 여러 연구들을 소개한다. 특히 존재론, 인식론, 윤리학, 사회철학, 기술철학의 관점에서 모빌리티 ‘사상’을 구하고, 이론적 자원을 끌어 모으는 국내 연구자들의 노력이 돋보인다.
목차
머리말 모빌리티 사상이란 무엇인가 / 김태희
1부 정주주의 비판
모빌리티의 공간정치학 장소의 재인식과 사회관계의 재구성 / 이상봉
왜 모빌리티에 주목해야 하는가?
모빌리티 패러다임: 사회공간을 읽는 새로운 틀
모빌리티와 장소의 재구성
모빌리티와 사회관계의 재구성
모빌리티에 기반한 대안적 사회구성을 향하여
매끈한 공간 대 홈 파인 공간 전쟁기계, 또는 공간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 들뢰즈 공간의 정치철학 / 김재인
경향성의 구분이라는 방법
장기와 바둑을 통해서 본 홈 파인 공간과 매끈한 공간
어근 nem-을 통해 본 노모스의 의미
전쟁기계, 또는 공간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매끈한 공간 만들기 말고 다른 실천이 없기에
테크놀로지와 새로운 거주 양식 / 강혁
공항이란 공간, 혹은 장소
근대의 거주
유목적 거주
2부 모빌리티에 대한 인문학적 사유
미셸 푸코의 ‘문제화’ 방식으로 스마트시티를 사유하기 / 도승연
스마트시티 담론: 대상, 주체, 개념, 전략을 중심으로
현대국가 통치성의 수단, 목표, 효과로서의 스마트시티
스마트시티와의 거리 두기의 가능성
공간화의 새로운 모색 모바일 아키텍처를 중심으로 / 김진택
하이데거의 공간화 운동
들뢰즈의 영토화 운동
모바일 아키텍처: 유목성의 현대적 모색
SNS 속도문화와 창조적 저항 비릴리오와 키틀러의 속도와 주체에 대한 사유를 중심으로 / 강진숙
SNS 속도문화와 쟁점
연구 문제와 연구 방법
분석 결과
3부 동서양의 모빌리티 사상
모빌리티와 기술 철학 시몽동과 스티글러 / 김재희
자동기계와 노동 소외
노동으로 환원되지 않는 기술 문화
탈-노동의 기술 문화와 개체초월적인 사회관계
기술 정신과 자연-기계-인간의 포스트-산업적 앙상블
기억 기술의 하이퍼-산업화와 관개체화
탈개체화된 노동과 앎으로부터의 소외
고용을 넘어선 일의 발명
패러다임의 전환 노동과 고용으로부터 기술적 앎에 기초한 창조적 삶으로
최한기의 존재와 인식에 관한 패러다임의 전환 / 이명수
존재와 인식의 패러다임의 전환
대상 인식의 패러다임
운화의 관점에서 이치와 길 찾기
화이트헤드의 사건적 존재론 트랜스휴머니즘 시대의 사이존재로서 새로운 인간 이해 / 박일준
우리 시대의 문제
화이트헤드의 사건적 존재론
‘몸의 사이-사건’: 체현된 인지를 통해 창발하는 정신과 세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