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2600년 전 인도에서 부처님과 제자들이 수행할 때의 생활모습과, 많은 수행자들이 공동체 생활을 하면서 발생하는 일들로 인해 ‘율(律)’이 만들어지는 과정과, 그렇게 제정된 율이 각각의 사건에 적용되는 것을 하나하나의 에피소드로 살펴보고 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계율, 꽃과 가시
버리다
출가_ 잘 왔다 비구여
안거와 수행_ 고요한 마음집중에 몰두하다
수계_ 어떠한 약속을 할 것인가
스님과 법명_ 불교가 있고 우주가 있고 또 사람이 있다
해제_ 모든 이의 이익과 안락을 위해 떠나라
소임_ 어떻게 살아야 잘 사는 것인가
도반과 승가 교육_ 보리수 씨앗 하나, 거목이 되다
법계와 승가고시_ 스님들, 긴장하다
법랍과 토론_ 내가 틀리고 상대가 옳을 수도 있다
여성 출가자_ 공감과 자비의 손길로 사회 구석구석을 보살피다
장애인 출가_ 가변의 질서가 될 것인가, 불변의 질서로 남을 것인가
파승_ 부디 함께 비추어 안온하게 삽시다
삭발과 다짐_ 충분히 멋진 일 아니겠는가
얻다
사찰_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열린 공간
도량 불사_ 아늑한 사찰, 지친 이들을 품다
도량 지킴이_ 저 대대적인 선교활동을 또 어찌할꼬
음성공양과 산사음악회_ 마음을 맑히는 문화공양
객승과 객실문화_ 차라리 절 밖에 머무는 편이 더 낫다면?
삼배와 인사문화_ 절, 내 안의 불성을 향한 마음가짐
스님과 신도관계_ 때문이라는 ‘원망’과 덕분이라는 ‘감사’
걸망과 자동차_ 스님, 그 걸망 속에는 뭐가 들어 있나요?
스님과 산행_ 스님들의 산행 복장, 어떻게 하면 좋을까
삼의(三衣)와 소비욕구_ 오늘은 내 걸망부터 풀어봐야겠다
정법(淨法)_ 그것은 죄가 되지 않는다
정인(淨人)_ 이 시대 한국불교의 목소리
사방승물과 현전승물_ 승가의 자산은 누구의 소유인가
도둑질하지 말라_ 우리가 정말 나쁜 사람이라서 문제가 생기는 것일까
칠불쇠퇴법_ 승가는 쇠퇴하지 않고 영원하리라
대승보살계_ 그것이 과연 중생을 위한 일인가
다시 버리다
마나타와 왕따_ 우선은 즐겁고 유쾌한 말 한마디를!
술과 중독_ 잦은 술자리로 온 나라 온 도시가 휘청거린다
명절과 음식물쓰레기_ 세상은 적당량을 덜어 남김없이 먹는 음식문화가 대세다
육식과 살생_ 완벽한 채식주의자가 되기란 쉽지 않다
불살생계와 자살_ 중요한 것은 자살하지 않아도 되는 사회를 만드는 것
나무 심기_ 미래의 봄은 더 이상 당연한 봄이 아니다
보시에 대한 생각_ 누구도 두 켤레의 신을 한꺼번에 신을 수는 없다
버림과 얻음_ 좋은 일도 고된 일도 다 같이 오는 법
기도와 종교의 역할_ 길은 이미 일러 주었으니 스스로 나아가라
여초부지_ 누운 풀이 땅을 덮듯 죄를 덮는다
다인멱죄와 투표_ 율이나 법의 문제는 아니다 사람이 문제다
소임자 선출과 그 자세_ 어디서부터 바뀌어야 할까
불교와 정치인_ 정치 바람에도 흔들림 없는 불교
화상_ 존경받는 어른이 많아야 불교가 번영한다
자자(自恣)와 쓴소리_ 현명한 사람은 쓴소리의 가치를 알기 마련이다
오계로 본 부처님 가르침_ 선한 습관 길들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