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부 논문
조선시대 차문화와 여성 / 최소연
1. 머리말
2. 다례의 정비와 차문화의 전승
3. 규방의 여성과 음다
4. 맺음말
조선시대 여인들의 차문화 인식 / 김수연
1. 들어가며
2. 일상의 생활 속 기호로서의 차
3. 고단한 삶에 대한 위안으로서의 차
4. 고양된 삶을 위한 수양으로서의 차
5. 나오며
조선시대 차의 국내 유입과 유통 / 김기림
1. 서론
2. 차의 국내 유입과 유통
3. 결론
생활문화의 측면에서 살펴본 조선시대 여성들의 차생활 / 허순우
1. 서론
2. 규방 여성들의 독서물인 국문장편 고전소설에 묘사된 차생활의 양상
3. 소설을 통해 살펴본 규방 여성들의 차생활에 대한 인식
4. 결론
조선시대 혼인문화와 규방다례 / 권순형
1. 서론
2. 차의 생산과 공납
3. 혼인 의례와 차
4. 혼인 생활과 차문화
5. 결론
조선시대 규방의 차문화 양상 / 김경미
1. 여성과 차
2. 여성의 일상과 차문화
3. 규방의 차문화 양상
4. 규방다례의 흔적
조선시대 규방다례의 문화사적 의의 / 심효섭
1. 서론
2. 여성교육과 규방다례
3. 생활문화로서의 규방다례
4. 의례문화와 규방다례
5. 결론
제2부 한문자료
Ⅰ. 여성한시
허난설헌
영수합 서씨
홍원주
숙선옹주
부용당 김씨
죽서당 박씨
금원당 김씨
정일헌 남씨
허경란
지재당 강담운
소파 오효원
Ⅱ. 의궤·생활서·소설·고려사·선화봉사고려도경
숙선옹주 가례등록
이재난고
구운기
옥선몽
옥루몽
위경천전
이생규장전
남염부주지
고려사
선화봉사고려도경
Ⅲ. 조선왕조실록·승정원일기·통문관지·연려실기술
실록 ‘작설’
『세종실록』「五禮儀」
『세종실록』113권「書茶禮」
『승정원일기』의 다례
『통문관지』에 나타난 다례
연려실기술
Ⅳ. 문집총간·유서 등
산림경제
계곡만필
매월당시집
계산기정
담헌서내집
성호사설
불우헌집
사가시집
점필재집
성소부부고
동계선생속집
택당선생집
여유당전서
오주연문장전산고
도은선생시집
이평사집
주자가례
여사서
제3부 국문자료
Ⅰ. 소설
소현성록
홍길동전
구운몽
숙향전
유씨삼대록
조씨삼대록
현몽쌍룡기
임씨삼대록
곽장양문록
벽허담관제언록
완월회맹연
임화정연기봉
부용전
화정선행록
엄씨효문청행록
김홍전
화씨충효록
춘향가
Ⅱ. 가사·민요·이야기 자료·총서 등
언해구급방
일동장유가
슌챵가
년행가
셔행녹
영암화상토굴가
권불가
몽환가
초당곡
도원가
청결방침
용선비타령
초당문답가
선원곡
1950년대 다민요
재수굿 각 거리(터주풀이)
명당 써놓고 잠적한 가짜 지관
부처인 진묵대사
새 며느리
여인으로 변신한 미꾸라지의 득천
요승을 물리친 사람
저승을 다녀온 옹두러미
주천 효자 쌍둥이
규합총서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