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장 영화, 소설 또는 영화소설
1. 영화소설, 영화소설론의 역사
1) 영화와 소설의 시대
2) 영화소설, 그 정의의 역사
2. 영화소설 분석 방법론
1) 식민지 조선이라는 ‘영화시대’의 원형
2) 문자-미디어와 영상-미디어의 절합
제2장 식민지 조선 영화소설의 문화적 조건과 양식적 위상
1. 식민지 조선에서 영화의 문화적 위상과 재현 기술의 확산
1) 1920년대 조선영화와 재현의 기술
2) 영화의 유행, 표현 욕망으로서의 글쓰기
3) 상설관 제도와 영화적 심상지리
2. 영화소설의 양식적 위상과 전개 양상
1) 영화소설의 양식적 위상 규정 문제
2) 영화소설의 전개 양상
제3장 영화소설의 혼성 미디어적 속성
1. 영상-미디어의 출현과 문인들의 대응
1) 영상-미디어 미학의 실험적 글쓰기
2) 문학적 실천과 영화라는 상상의 기획
2. 영화적 이야기의 문학적 재현 양상
1) 영화서사의 소설적 탄생
2) 공공의 영화에 대한 사적 욕망의 탄생
3) 영화적 지식과 현상의 결합, 구상적 서사의 탄생
3. 이야기 성격에 따른 영화적 서술 형식의 제 양상
1) 서양 장르영화의 모방과 멜로드라마
2) 영화, 재현의 정치학과 경향성
3) 도시의 산책자로서 카메라
제4장 두 미디어의 충돌과 새로운 서사 양식의 출현
1. 시각 미디어의 출현과 재현 기술의 변화
1) 빛과 그림자로서 문자-미디어와 영상-미디어
2) 시지각의 미디어화와 미학의 형성
3) 문자-미디어 속 영상-미디어의 무늬
2. 영화소설의 영상-미디어적 속성
1) 영화 서술의 문자적 모방과 재현
2) 영화적 지각 방식이라는 인식의 거울
3) 영화적 표현기법 실험의 의의와 소설적 한계
제5장 결론
참고문헌
간행사
표․그림 차례
1. 식민지 조선의 영화소설 서지목록
2. 탈춤 연재 예고(동아일보, 1926.11.8)
3. 신문 연재 영화소설 탈춤 1회(동아일보, 1926.11.9)
4. 국산영화 연도별 제작편수(1932~1939)
5. 1930년대 영화흥행 추이
6. 동아일보 영화소설현상공모 문안(동아일보, 1937.7.28)
7. 동아일보 영화소설현상공모 당선발표 특집 기사(동아일보, 1937.8.31)
8. 최금동, 愛戀頌 11회(동아일보, 1937.10.16)
9. 최금동, 愛戀頌 1회(동아일보, 1937.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