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1 서론: 준비된 당선인의 중요성
1.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연구의 필요성
2. 이 책의 목적과 의의
3. 연구의 방법
4. 책의 구성
2 대통령직 인수에 대한 이론적 고찰
1. 대통령직 인수의 중요성과 의의
2.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의 인수 대상
3.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의 업무 및 권한
4. 대통령직 인수에 관한 선행연구 및 미국의 사례
5. 한국의 대통령직 인수 연구에 고려해야 할 요인들
3 제17대 이전 우리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의 경험
1. 제13대 대통령 취임 준비위원회의 현황
2. 제14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의 현황
3. 제15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의 현황
4. 제16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의 현황
4 제17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의 현황 및 문제점
1. 제17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의 현황
2. 제17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의 문제점
5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의 발전방향
1. 성공적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출범의 사전조건들
2. 성공적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구성의 조건들
3. 성공적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운영의 조건들
4. 대통령직 인수활동에 관한 업무일정표
6 결론
1. 대통령직 인수의 성공 조건
2. 정부구성의 방향과 과제
3. 준비된 대통령당선인의 국정운영 준비
부록
1. 대통령 당선인을 위한 대통령직 인수 매뉴얼
2.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위원을 위한 대통령직 인수 매뉴얼
3. 대통령직 인수에 관한 법률
4. 대통령직 인수에 관한 법률 시행령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약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