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독립기념관 : 한국의 독립운동가들' 32권. 상해 등 중국 각지에서 독립운동을 할 당시 '단벌신사'로 널리 알려졌던 '작은 거인' 조완구의 생애를 다룬 책이다. 그의 평생 신앙은 대종교, 업무는 독립운동, 소속은 임정, 목표는 광복 그리고 통일이었다. 그러나 그는 6.25전쟁 당시 납북되어 1954년 말에 안타까운 삶을 마감했다.
목차
글을 시작하며
1 서울의 북촌 양반가문에서 태어나다
서울 북촌에서 태어나다
광무황제 고종과 풍양 조씨 가문의 형제들
풍산 홍정식과 결혼
처남 홍범식ㆍ처조카 홍명희
2 관직생활과 주요 활동
조완구그이 학문과 법학 수련
조완구의 관직 경력과 주요 인연
『증보문헌비고』편찬에 참여하다
대한협회ㆍ기호홍학회와 조완구
3 러일전쟁과 불타는 황궁
러일전쟁 직후 불타는 서울의 황궁
민영환과의 우문소답
대한제국 마지막 외교의 좌절 - 이상설과 헤이그특사의 사명
처남 홍범식의 자결 - 국파군망 불사하위
4 구국의 길: 공자에서 단군으로
공자를 따를 것인가
위기의 시대에 부활한 단군
대한제국이 나라를 잃은 요인
나라는 멸망할 수 있으나 역사는 멸할 수 없다
5 만주 망명과 대종교의 독립운동가들
조완구의 만주 망명과 대종교 활동
대종교의 지도자 나철의 순국
이상설ㆍ유인석과 성명회ㆍ권업회
대한광복군정부의 등장과 이상설의 운명
6 무너지는 가정과 아내 홍정식
조완구의 아내와 가정의 비극
머리카락을 자른 아내
7 3ㆍ1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탄생
광무황제의 붕어와 독살설
3ㆍ1운동의 발발과 그 파장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탄생
8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지키려는 조완구
구황실에 대한 우대를 주장하다
국무위원 조완구의 활동 - 교통국 설치와 연통제 실시
임시정부를 유지하려는 조완구
창조파ㆍ개조파의 갈등과 조완구의 이승만 지지
9 봉오동ㆍ청산리전투와 대종교인들
대종교인들과 중광단ㆍ북로군정서
홍범도의 봉오동전투와 김좌진의 청산리전투
일본군의 보복과 경신대참변
일본의 대종교 탄압과 임오교변
10 한국독립당과 윤봉길 의거
파란만장한 한국독립당의 역사와 조완구
윤봉길의 상해의거와 임시정부의 유랑
임시정부의 한국독립당과 조완구
11 갈 길은 먼데, 끊이지 않는 갈등
경거망동하는 사회주의자, 분열을 공작하는 일본
남목청사건과 한국독립당의 재건
민족혁명당과 갈등 - 임정의 안살림은 조완구, 바깥살림은 박찬익
12 한국광복군 선언과 임시정부의 전시체제 정비
임시정부의 군사활동과 광복군 선언
임시정부의 전시체제 정비와 조완구
한국의 독립은 미ㆍ중ㆍ소가 일본을 이겼을 때
한국광복군과 미군의 독수리작전
간절했던 조국의 광복 - 그날이 오면
13 8ㆍ15광복과 한반도에 등장한 두 그림자
일본의 항복선언과 임시정부의 환국 준비
한반도에 나타난 미군과 소련군
14 임시정부 요인들의 환국과 한미장의 조완구
임시정부 요인들의 귀국과 ‘한미장’
28년 만에 상봉한 아버지와 딸
15 불안정한 한반도 정국과 이승만ㆍ김구의 대응
미소공동위원회와 유엔한국임시위원단
한반도 현실에 대한 이승만과 김구의 생각
이승만의 단독정부 수립과 김구그이 남북협상 제의
16 김구ㆍ김규식의 남북협상 타진과 북한의 반응
남한 정국의 혼란과 김일성
김구ㆍ김규식의 남북협상 추진과 이승만의 단독정부 추진
대종교 인사 박찬익의 남북협상 불가론
17 남북협상의 파행과 임시정부 요인들의 충격
남북연석회의와 김일성
남북연석회의의 파행과 임시정부 요인들
18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두 개 정부의 등장과 상이한 국가 상징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 상징
민족분단에 대한 조완구의 탄식
백범 김구의 암살과 조완구
19 6ㆍ25전쟁과 임시정부 요인들의 피랍
남한의 ‘북진통일’구호와 중공ㆍ소련의 북한군 지원
북한군의 남침과 유엔군의 참전
김일성의 ‘모시기작전’과 임시정부 요인들의 피랍
20 압록강변의 겨울과 조완구의 운명
납북 인사들의 고난과 김규식의 비극
민족진영 대표와 김일성의 대면
미완의 한국독립당 재건과 조완구의 운명
대종교의 타격과 납북 인사들의 비극
21 이야기를 끝내며
조완구의 삶과 자취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