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서론
제1장 불교의 수용과 재래 신앙
불교의 수용과 전개
제2장 삼국과 통일신라시대의 불교 조각
1. 삼국시대의 불교 조각
2. 통일신라시대의 불교 조각
(1) 삼국, 특히 백제의 전통이 엿보이는 작례
(2) 인도풍이 엿보이는 작례
(3) 당풍(唐風)이 엿보이는 작례
(4) 석굴암 본존과 그 영향이 보이는 작례
3. 삼국과 통일신라시대의 마애불
(1) 마애불의 조성 배경
(2) 마애불의 조각 기법
(3) 마애불의 표현 방법
제3장 고려시대의 불교 조각
1. 고려시대의 사회와 불교
(1) 고려와 중국과의 관계
(2) 비보사탑설
(3) 팔관재회
2. 고려시대의 철불
(1) 석굴암 본존의 영향력이 강하게 엿보이는 작례
(2) 석굴암 본존의 영향력이 약하게 엿보이는 작례
3. 고려시대의 석불
(1) 조소적 표현을 지향한 작례
(2) 자연의 암석을 존중한 작례
1) 바위 표면에 평면 가공을 한 마애불의 작례
2) 바위의 자연스런 면을 살린 마애불의 작례
3) 두부에 별석을 더한 마애불의 작례
4) 자연석의 모양을 살린 환조의 작례
(3) 고려 석불의 바위와 상과의 관계
1) 고려 석불의 석재관(石材觀)
2) 조성 원의(願意)의 표현과 결과
제4장 맺음말
부록
표1 입중국유학승
표2 불상 관계의 문헌 기록
문헌에서 본 출현하는 불상·탑
영산(靈山) 영석(靈石)에 관한 기록
참고 문헌
도판 목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