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책머리에
제1장 서설 - 뷰파인더 위의 경성
1. 박태원과 고현학
2. 카메라를 든 사나이
제2장 도시를 읽는 독법
1. 텍스트가 된 도시 : 「적멸」, 「애욕」
1) 기원으로서의 ‘고독’
2) 욕망이 기록된 도시
2. 카메라가 된 ‘구보’ : 「피로」,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거리」
1) 몽타주, 텍스트로서의 도시 읽기
2) 풍경이 된 근대인의 내면
3) 모던 보이의 ‘산책’
4) 병증으로 호명된 도시
5) 주관성의 인정과 ‘밀실’의 획득
제3장 피사체가 된 ‘언어’
1. ‘유-모아’의 소설화 : 「악마」, 「최후의 억만장자」
1) 신경증과 왜곡된 위트
2) ‘유-모아’와 탐정이 된 구보
2. 피사체가 된 이야기 : 『천변풍경』
1) 영상이 된 서사
2) ‘수다’의 고현학
3) 선택과 배제의 공간으로서의 ‘천변’
제4장 확장된 산책
1. 유쾌한 관찰자, ‘악동’의 등장 : 「특진생」, 「소년탐정단」
2. 범죄를 통해 읽은 ‘근대’ : 『우맹』
1) 탐정소설과 구보형 인물
2) ‘우맹’으로부터 ‘금은탑’으로
3) ‘기차’에 반영된 근대적 양가성
제5장 ‘구보’의 소실과 ‘생활’의 고현학
1. 타락한 관찰자와 ‘통속’
1) ‘소유’, 조작된 전망:『명랑한 전망』
2) 교환가치가 된 애정:「애경」
3) 사적 애정과 공적 결혼:『여인성장』
2. 궁항매문의 서사 : 자화상 3부작, 「재운」
1) 사소설과 자화상 3부작
2) ‘생활’의 고현학
제6장 글을 마치며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