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들어가는 말―왕징웨이와 현대 중국 민족주의를 바라보는 시각
제1편 반만에서 반제로
Ⅰ. 신해혁명 시기의 왕징웨이와 반만민족주의
1. 혁명가 왕징웨이와 민족주의
2. 일본 유학과 동맹회 활동
3. 무정부주의의 영향
(1) 섭정왕 암살 기도와 실패
(2) 국사공제회 조직과 남북의화에서의 역할
4. 반만민족주의 주창과 그 의미
(1) 반만민족주의 제기
(2) 반만민족주의 실천과 한계
5. 반만민족주의의 의미
Ⅱ. 5·4운동 시기 왕징웨이와 반제민족주의―파리평화회의 관련 활동과 반제 인식 형성
1. 반만과 반제
2. 파리행과 평화회의 관련 활동
3. 국제 인식의 변화와 반제민족주의 형성
(1) 평화회의와 국제연맹에 대한 이해
(2) 무정부주의, 호조론의 영향과 반제 인식의 한계
4. 반제 인식의 형성과 그 한계
제2편 반제민족주의의 전개
Ⅰ. 국민혁명 시기 왕징웨이와 장제스의 권력투쟁과 좌파 지도자 왕징웨이의 권력 한계
1. 왕징웨이, 장제스, 반제민족주의
2. 왕징웨이와 장제스의 권력투쟁, 중산함사건
(1) 중산함사건, 그리고 왕징웨이와 장제스의 관계
(2) 장제스의 권력 장악과 왕징웨이의 외유
3. 북벌 개시 이후의 영왕운동 전개와 왕징웨이의 귀국
(1) 영왕운동의 전개
(2) 장제스의 대응
(3) 왕징웨이의 귀국
4. 상하이담판과 장·왕 관계의 결렬
5. 왕징웨이의 권력 한계
Ⅱ. 국민혁명 시기 왕징웨이와 반제민족주의 실천
1. 국민혁명과 반제민족주의
2. 국민당의 개진, 개조와 반제 제기
3. 북상, 국민회의운동과 반제의 고양
4. ‘혁명외교’와 반제 실천의 한계
5. 반제의 좌절
제3편 반제에서 친일로
Ⅰ. 중일전쟁 발발 전야 왕징웨이의 대일 태도―시안사변 전후의 친일 가능성 검토
1. 왕징웨이와 친일문제
2. 1930년대 전반 장·왕 연합체제와 ‘친일파’ 왕징웨이
(1) 반장제스운동과 왕징웨이
(2) 만주사변 이후 복원된 장·왕 연합체제와 왕징웨이의 대일 태도
(3) 왕징웨이 피격사건과 친일파 논란
(4) 장·왕 연합체제 중단과 대일 외교
3. 시안사변 이후의 장·왕 연합체제 복원과 대일 태도의 향방
(1) 시안사변 발발과 왕징웨이의 귀국
(2) 복원된 장·왕 연합체제
(3) 대일 태도의 분기―장제스 국민정부의 ‘선항일’과 왕징웨이의 ‘후항일’
4. 친일의 가능성
Ⅱ. 중일전쟁 발발 이후의 화평운동과 왕징웨이의 친일 선택
1. 왕징웨이 중심의 화평운동을 보는 시각
2. 중일전쟁의 전개와 대일화평론 대두
3. 대일 화평 교섭 진행과 왕징웨이의 입장
4. 중광당회담과 왕징웨이의 충칭 이탈
5. 왕징웨이의 친일 선택과 그 배경
(1) 장·왕 관계와 장제스 배제
(2) ‘혁명외교’의 실패 경험과 국제정세 인식
(3) 분공 경험과 ‘일치방공’에 대한 호응
(4) ‘민족 구원’과 자기희생
6. 왕징웨이의 정치 경험과 친일
제4편 친일의 논리와 친일정권의 곤경
Ⅰ. 왕징웨이 친일정권과 대아시아주의의 변용
1. 왕징웨이 친일정권의 정당성 문제
2. 쑨원의 대아시아주의 ‘계승’
3. 대아시아주의와 동아연맹
4. ‘대동아전쟁’ 이후의 대아시아주의
5. 일본 중심의 아시아연대
Ⅱ. 일본 동아연맹운동 수용과 왕징웨이 친일정권
1. 왕징웨이정권과 동아연맹
2. 일본의 동아연맹론과 동아연맹운동
3. 중국의 동아연맹론 수용과 동아연맹운동
(1) 중국의 동아연맹 단체 성립과 활동
(2) 동아연맹중국총회 성립
4. 동아연맹론과 왕징웨이 친일정권
(1) 동아연맹론과 대아시아주의의 결합
(2) ‘정치 독립’ 모색과 좌절
5. 동아연맹론의 결말
Ⅲ. 왕징웨이 친일정권과 신민회
1. 친일정권의 곤경
2. 신중앙정부 수립 구상과 ‘정치 독립’
3. 신민회 조직과 구성
4. 신민회와 동아연맹의 갈등
5. 실패한 ‘정치 독립’
나오는 말―왕징웨이와 현대 중국 민족주의의 굴절
1. 이 책의 내용 요약
2. 현대 중국 민족주의의 굴절과 의미
주
참고문헌
中文目錄及提要
각 장의 출처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