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두번째 징검돌을 놓으며
1부_언어상태 점검 중: “나는 어떻게 쓰고 있나?”
1장_당신은 개구리다
당신은 개구리다
당신의 부모님도 개구리다
개구리는 개구리다운 생각과 언어를 반복한다
개구리에겐 사랑의 입맞춤이 필요하다
그러나 개구리에겐 꿈이 없다
게다가 개구리는 개구리 언어를 고집한다
검증되지 않은 모든 문장은 개구리 언어다
일상언어는 가장 대표적인 개구리 언어다
개구리는, 자신의 모든 경험을, 개구리 언어로만 번역한다
공주와 왕자는 공주와 왕자의 언어를 사용한다
청개구리 언어
2장_인간은 언어-사이보그다
인간은 언어-사이보그다
언어는 인류의 가장 오랜 전쟁터다
인류는 언어오 함께 발달했다-문자의 발견
책은 외노이자 타임머신이다-책의 발명
가종 좋은 두뇌란 가장 좋은 문장이다
개구리 언어와 공주 왕자의 언어
입말언어와 문자언어
일상언어와 출판언어
일반언어와 창작언어
2부_입만 열만 깨는 당신 : “어떻게 쓰지 말까?”
3장_거칠게 청킹하지 마라
‘언어’라 불리는 제복
사실 세계와 언어 세계
추상의 사다리
청킹
문장 표현과 청킹
문학언어의 청킹
거친 청킹, 거친 문장, 거친 생각
4장_거칠게 생각하지 마라
통념 수준으로 생각하기
일생 단위로 생각하기
하루 단위로 생각하기
사건 단위로 생각하기
연상다발 단위로 생각하기
호흡지간 단위로 생각하기
생각 끊기 혹은, 생각 끊기
3부_나를 바꾸는 글쓰기 : “어떻게 쓸까?”
5장_초점화, 문제화, 언어화
있는 그대로 보기
초점화 - 다양한 관심의 초점으로 바라보기
문제화 - 서로 다른 문제설정으로 다가가기
언어화 - 다양한 언어로 인지하기
6장_어떻게 실재를 만들까?
망원경과 배율
일상적 사실(혹은, 통념적 리얼리티)
일상적 사실(혹은, 통념적 리얼리티) - 초보 습작생들의 경우
주관적 사실(혹은, 배개연적·신경증적 리얼리티)
모범적 사실(혹은, 일차원적 리얼리티)
구체적 사실(혹은, 감각적 리얼리티)
실질적 사실(혹은, 창조적 리얼리티)
역동적 사실(혹은, 역설적 리얼리티)
7장_어떻게 쓸까?
어떻게 문장을 만들까?
단락은 어떻게 만들까?
단락장은 어떻게 만들까?
장르 규칙은 어떻게 만들까?
에필로그_견기이작(見幾而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