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의 지성 147권. 지금의 한국 사회를 설명해줄 아홉 장면을 선별해 담론적 변화의 양상과 그 사회문화적 의미를 추적하며, 필자들이 고안해낸 ‘두꺼운 언어’와 ‘얇은 언어’라는 프레임으로 이 시대 문화 변동의 경향을 바라본다.
목차
프롤로그 일러두기 권두논문│오늘의 담론 세계: 현상과 방법론 / 박명진
1부 두꺼운 언어의 세계: 재현과 미디어 담론 고대 영웅에 대한 상상적 기억: TV사극「선덕여왕」 / 손병우 이방인이 본 한국의 모습: 매그넘 코리아 사진전 / 주형일 미디어 이벤트로서의 1차 남북정상회담의 서사 / 곽현자 민족의 역이주와 위계적 민족성의 담론:『 조선일보』의 조선족 담론 분석 / 양은경 방송 정책결정 과정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연구: 위성방송의 지상파 재송신 정책담론을 중심으로 / 홍종윤
2부 얇은 언어의 세계: 디지털 시대의 담론 변동 케이팝 아이돌의 성인 팬덤과 정체성 문제: 담론심리학 접근 방법 / 김수아 세계화와 디지털 문화 시대 여성 팬덤과 성 담론: 프랑스의 한국 아이돌 문화 수용에 대한 연구 / 홍석경 미네르바 신드롬과 ‘시민지성’의 조건: 세계화와 정보화의 교차로에서 / 최선정 불안: 그 느낌, 표정, 말들에 관하여 / 김예란
참고문헌 출전 필자 소개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20세기 말과 지역문화1998 / 김준태 저 / 나남
나는 일본문화가 재미있다1998 / 김지룡 저 / 명진
21세기 문화이론 과정학1996 / 김채수 저 / 교보문고
한국의 문화 생활, 천안편2008 / 구현정 ; 서은아 / 정인출판사
한국의 문화 생활, 안산 안양편2008 / 구현정 ; 서은아 / 정인출판사
문화 일상 대중1996 / 박명진 외저 / 한나래
미국문화지도1995 / 시무라 마사오 외저 ; 이경애 ; 황순애 공역 / 한나래
두꺼운 언어와 얇은 언어 : 디지털 시대의 문화 변동과 담론 연구2012 / 박명진 엮음 / 문학과지성사
막스 베버의 문화사회학과 인간학1992 / 박성환 지음 / 文學과 知性社
사회심리학의 대가들1998 / 제임스 A. 셸렌버그 지음 ; 김동일 ; 이동원 공역 /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문화전문 기자가 쓴)우리고장 문화읽기2001 / 임병무 지음 / 문경출판사
서울문화 평양문화 통일문화2001 / 임채욱 지음 / 조선일보사
(탈식민지 시대 지식인의)글 읽기와 삶 읽기. 22015 / 조혜정 저 / 또하나의 문화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의 이해1998 / 최윤희 ; 김숙현 공저 / 범우사
한국인에게 문화는 있는가1997 / 최준식 저 / 사계절
같은 주제의 책
명견만리 : 윤리, 기술, 중국, 교육 편2017 / KBS〈명견만리〉제작팀 / 인플루엔셜
초예측 [큰글자책]: 세계 석학 8인에게 인류의 미래를 묻다 2020 / 지음: 유발 하라리, 재레드 다이아몬드, 닉 보스트롬, 린다 그래튼, 다니엘 코엔, 조앤 윌리엄스, 넬 페인터, 윌리엄 페리 ; 엮음: 오노 가즈모토; 옮김: 정현옥 / 웅진지식하우스 :
명견만리 : 향후 인류에게 가장 중요한 것들을 말하다 : 인구, 경제, 북한, 의료 편2016 / KBS <명견만리> 제작팀 지음 / 인플루엔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