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대산세계문학총서 108, 109권. 무측천의 집정시기를 배경으로 당오와 당소산 부녀의 이야기를 다룬 이여진의 대표작. 인간계를 씨실로 삼고 신화와 역사를 날실로 삼아 하늘과 바다, 과거와 현재, 경서와 속담, 시부(詩賦)와 민간놀이를 종횡무진 넘나드는 중국 문학의 대작이다. 혁신적 사고와 뛰어난 상상력, 방대한 작품 구성으로 단연 청조 문학의 으뜸이라고 일컬어진다.
목차
제54회 비문을 훔치는 원숭이와 편지를 전하는 안자초
제55회 천연두 처방을 논하는 봉현과 좋은 점괘를 뽑는 홍거
제56회 시찰에서의 우연한 만남과 바다에서의 운명적 상봉
제57회 옛 친구를 그리워하는 문은과 친구를 찾아 떠나는 여승지
제58회 농우에서 대패한 사일과 산속에서 싸움을 벌이는 재옥섬
제59회 산에 숨어 군사를 모으는 낙승지와 사술
제60회 죄인을 놓친 웅 대인과 연회를 벌이는 연자경
제61회 차를 음미하는 소저들과 객을 맞이하는 연의
제62회 녹향원의 우연한 상봉과 홍문관의 모임
제63회 선행에 대한 논의 와열 명을 위한 특별시험
제64회 벼루 내기 수수께끼 우애 깊은 자매들
제65회 점을 치는 소저와 인재를 찾는 과거
제66회 세자를 찾는 국왕과 재녀를 뽑는 태후
제67회 스승을 찾는 재녀와 표문을 전하는 국구
제68회 문염왕에 봉해진 약화와 연회에 초대받는 재녀들
제69회 예부상서의 집에모인 재녀들
제70회 누에고치 모자와 술 단지 비연통
제71회 읍홍정에 대한 회상과 응취관에서 무르익는 정
제72회 고동대의 거문고 합주와 백출정의 부채 풍류
제73회 바둑을 논하는 요지형과 마조를 말하는 부채 풍류
제74회 쌍륙의 의미와 장기의 다툼
제75회 멀리서 들리는 퉁소 소리와 창문 넘어 배우는 육임점
제76회 육임법의 핵심과 창문 뒤에서 엿듣는 홍지
제77회 옛 방식을 버리고 새로운 풀싸움을 고안하는 재녀들
제78회 술자리의 즐거운 환담과 기발한 벌주놀이
제79회 활쏘기의 비법과 신비한 계산법
제80회 부채를 건 수수께끼와 신발을 날린 공 던지기
제81회 백출정에서 시를 논하고 응취관에서 연회를 즐기는 재녀들
제82회 주령에 따라 찾아보는 쌍성과 첩운 구절
제83회 민담과 노래가 어우러져 흥을 더하는 벌주놀이
제84회 절묘한 구절을 읊는 옥지와 진경을 낭송하는 보운
제85회 심약을 비꼬고 장강을 칭송하는 재녀들
제86회 부모 생각에 우는 효녀와 자신의 성을 빗대 웃기는 하녀
제87회 놀이를 빗대 사(詞)를 읊고 경치를 보며 월령(月令)을 따지는 재녀들
제88회 독설로 앙금을 푸는 항아와 광풍으로 분노를 쏟는 풍이
제89회 천기를 밝히고 옛일을 거슬러 올라가는 시
제90회 처량한 구절을 읊는 도사와 참담한 내용에 놀라는 재녀들
제91회 글자 바꾸기 주령과 제비를 속이는 청전
제92회 과라를 논하는 재녀와 호로를 평하는 하녀
제93회 천기를 암시하는 백화선자와 주령을 끝내는 재녀들
제94회 고향으로 돌아가는 약화와 소봉래로 향하는 규신
제95회 오랜 질병에 얽힌 의술과 새로운 인연에 펼치는 검술
제96회 충성심이 넘치는 거병과 사술이 가득한 유수진
제97회 진을 깰 비책을 암시하는 선녀와 묘책을 찾는 공자들
제98회 무화관에 도전하는 용기와 파도진에 갇히는 욕정
제99회 환영을 헤매는 장군과 속세에 내려오는 신선들
제100회 공을 세운 공자들과 복위되는 중종
옮긴이 해설·운명과 인연의 대장정
작가 연보
기획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