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이 책의 저자는 불교와 민속의 상관관계를 밀교적 특색에서 찾으면서 한국불교의 민속적 토대를 규명하는 학문적 성과를 보이고 있다. 제1부에서는 한국불교의 민속적 토대를 정리하였고, 제2부에서는 불교민속의 사례를 정리하였으며, 제3부에서는 한국불교와 밀교라는 제명으로 한국불교의 밀교적 특색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핵심적인 불교민속 관계 의례에 관한 논문 세 편을 추가하여 부록에 실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머리말 - 불교민속의 근원과 전개
Ⅰ. 한국불교민속의 본질
1. 불교민속
1) 불교민속의 의의
2) 불교민속의 범위
3) 불교민속의 대상
2. 불교신앙 의례
1) 불교신앙 의례의 유형
2) 불교신앙 의례의 구조
3) 불교신앙 의례의 특성
3. 가람과 성지사원 신앙
1) 성지로서의 가람
2) 가람과 신앙 행위
Ⅱ. 불교문화와 민속
1. 불교민속의 범위와 성격
1) 불교민속 발생의 연원
2) 불교민속의 성격
2. 불교문화와 민속예술(예능)
1) 불교의례의 예능적 특성
2) 범패의 종교적·미학적 의미
3. 불교와 민속예술의 다양성
4. 불교문화로서의 민속
1) 괘불재와 민속
2) 사월초파일과 민속
3) 불교와 민속신앙
4) 헌공의례와 민속
5) 불교와 무형문화재
Ⅲ. 한국불교와 밀교
1. 한국불교의 밀교적 특색
1) 한국 불교문화와 밀교
2) 한국 가람구조의 밀교적 요소
3) 한국 불교의례의 밀교적 요소
2.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 불교의 밀교적 특색
1) 신라 경주의 밀교유적 사천왕사지
2) 오대산에 펼친 신라인의 만다라적 발상
3) 신라오악의 성립과 밀교
4) 불국사의 조영과 밀교
5) 석굴만의 밀교적 요소
6) 가람·불교의례의 밀교적 요소
3. 고려시대 불교의 밀교적 특색
1) 고려시대 밀교도량·의례
2) 고려시대 밀교유적과 밀교도량
3) 고려시대 밀교유적과 그 의례
4) 고려불교의 밀교적 성격과 그 의의
5) 고려사회의 불교적 분위기 조성과 밀교의범
6) 고려시대의 신중신앙
7) 고려불교의례 구조상의 밀교
4. 조선시대 불교의 밀교적 특색
1) 조선시대 불교와 밀교의례
2) 조선시대 불교의례와 밀교
3) 조선시대 불교의 밀교적 특성
4) 조선시대 밀교의 특성
5) 『조상경』의 간행과 불상관의 밀교화
6) 조선시대 밀교적 신앙의례의 문화적 의의
7) 조선시대 불교의 특색
5. 현대 한국불교의 밀교적 특색
1) 가람의 구조와 밀교
2) 가람구조로 본 밀교적 성격
부록
연등회와 팔관회
불교의례와 무속의 비교
수륙재의 구성과 의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