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

  • 한국의 아리랑문화
  • 한국의 아리랑문화

    발행연도 - 2011 / 편저자: 국제문화재단 ; 김태준 ; 김연갑 ; 김한순 / 박이정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2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271222
    • ISBN 9788962922066
    • 형태 382 p. 24 cm
    • 한국십진분류 예술 > 음악 > 한국음악 및 동양전통음악
    • 카테고리분류 역사/문화 > 문화/문화사 > 한국문화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우리민족의 대표적 가락인 아리랑과 아리랑문화를 알리는 개론서. 제1부 ‘아리랑이란 무엇인가’에서는 아리랑의 문화 표상, 미학, 정서, 한민족의 심상공간, 한의 풍류 등의 내용을 다뤘다. 제2부 ‘아리랑, 그 길고 긴 내력’에서는 아리랑에 의한 아리랑 읽기, 근대 민요 아리랑의 부각, 근대사 만화경, 아리랑 문화, 지속과 변용의 길, 본조아리랑 시대 등을 다룬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제1부 〈아리랑〉이란 무엇인가?
1. 〈아리랑〉, 한민족의 문화 표상
2. 받는소리,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3. 아리랑의 미학
⑴ 아리랑의 근대성
⑵ 아리랑의 악곡 구조
4. 아리랑의 정서
5. 아리랑 고개, 한민족의 심상공간
6. 〈아리랑〉의 문화 - ‘한(恨)’과 ‘풍류’
7. 〈아리랑〉, 세계의 노래, “쌀의 노래”

제2부 아리랑, 그 길고 긴 내력
1. 아리랑에 의한 아리랑 읽기
⑴ 아리랑, 아리랑문화의 개념
⑵ 아리랑의 발생과 그 배경
⑶ 전승 배경·기능을 담은 명칭
⑷ 정체성, 동일체의 인자, 후렴
⑸ 아리랑의 성격 변화
2. 근대민요 아리랑의 부각
⑴ 역사에의 의탁, ‘신성염곡 아리랑타령’
⑵ 화려한 헌사, ‘아리랑은 쌀’
⑶ 일제가 주목한 공시매체(公示媒體), 아리랑
3. 근대사의 만화경, 아리랑문화
⑴ 영화 〈아리랑〉, 주제가 〈아리랑〉의 탄생
⑵ 영화 〈아리랑〉의 줄거리
⑶ 나운규와 장송곡
⑷ ‘모든 노래는 아리랑으로 통한다’
⑸ 총독부의 황민화 정책, 〈非常時아리랑〉
⑹ 훼절 아리랑, 악극 〈아리랑〉
⑺ 아리랑문화운동
⑻ 동포사회에 각인된 디아스포라 아리랑
4. 지속과 변용의 길
⑴ 잡가집 소재 아리랑의 양상과 확산
⑵ 음반을 통한 확산
⑶ 방송에 의한 확산
⑷ 유행가집을 통한 확산
5. 본조아리랑 시대
⑴ 아리랑의 위상, 본조(本調)아리랑
⑵ 주제가 〈아리랑〉에서 본조아리랑으로
⑶ 1940년대 후반부터 사용
⑷ 본조는 대표(代表)라는 위상을 의미

제3부 아리랑의 분포와 그 양상
1. 아리랑의 종류와 지역적 분포
⑴ 하나이면서 여럿인 또는 같으면서 다른 아리랑
⑵ 아리랑의 지역적 분포
⑶ 북한에서의 민요와 아리랑 분류
⑷ 해외 동포사회
2. 각 지역 아리랑의 실상과 사연
⑴ 아리랑고개는 문경새재?
⑵ 서울의 아리랑과 서울아리랑
⑶ 삶의 소리, 천년의 노래 정선아라리
⑷ ‘아무나 잘 부를 수 없는’ 진도아리랑
⑸ 동시대성이 돋보이는 밀양아리랑
⑹ 북한의 아리랑
⑺ 아리랑, 통일을 지향하는 전승으로

제4부 여러 아리랑의 음악적 특징
1. 들어가며
2. 노래로서의 아리랑을 위한 민요의 일반적인 이해
⑴ 민요의 빠르기와 리듬적 특징을 나타내는 장단
⑵ 민요의 지역별 고유한 음악적 특징인 조(調)
⑶ 민요의 맛을 더욱 살리는 표현의 요소들
⑷ 민요를 부르는 방식
⑸ 신민요와 기보법
3. 여러 아리랑의 음악적 특징
⑴ 긴 아리랑
⑵ 아리랑
⑶ 밀양아리랑
⑷ 진도아리랑
⑸ 정선아리랑
⑹ 강원도아리랑
4. 맺으며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산대놀이 음악의 구조 : 염불타령, 허튼타령, 굿거리를 중심으로 산대놀이 음악의 구조 : 염불타령, 허튼타령, 굿거리를 중심으로 2019 / 지음: 이승희 / 민속원
한민족의 소리를 만나다 한민족의 소리를 만나다 2011 / 윤행석 글.사진 / 심미안
한민족의 소리를 만나다 한민족의 소리를 만나다 2011 / 윤행석 글.사진 / 심미안
인문학으로 읽는 국악이야기 : 민요라는 재미있는 수수께끼를 인문학으로 풀어내다 인문학으로 읽는 국악이야기 : 민요라는 재미있는 수수께끼를 인문학으로 풀어내다 2020 / 지음: 하응백 / 휴먼앤북스:
인문학으로 읽는 국악이야기 : 민요라는 재미있는 수수께끼를 인문학으로 풀어내다 인문학으로 읽는 국악이야기 : 민요라는 재미있는 수수께끼를 인문학으로 풀어내다 2020 / 지음: 하응백 / 휴먼앤북스:
명창들의 시대 : 조선을 울리고 웃긴 소리광대들, 삼백 년 판소리사의 풍경 명창들의 시대 : 조선을 울리고 웃긴 소리광대들, 삼백 년 판소리사의 풍경 2006 / 윤석달 지음 / 작가정신
제주민요 : 국가무형문화재 제95호 제주민요 : 국가무형문화재 제95호 2020 / [편]: 국립무형유산원 / 역락
한국의 아리랑문화 한국의 아리랑문화 2011 / 편저자: 국제문화재단 ; 김태준 ; 김연갑 ; 김한순 / 박이정
겨레의 노래 아리랑 겨레의 노래 아리랑 2023 / 지음: 김삼웅 / 두레
겨레의 노래 아리랑 겨레의 노래 아리랑 2023 / 지음: 김삼웅 / 두레
(김형관 피디의) 중국 조선족 아리랑 (김형관 피디의) 중국 조선족 아리랑 2017 / 지은이: 김형관 / 솔과학
아리랑의 문학 수용과 문화 창출 : 지역 민요의 생태와 문화지리 = Literature and creating culture based on Arirang : ecology and cultural geography of local folk songs 아리랑의 문학 수용과 문화 창출 : 지역 민요의 생태와 문화지리 = Literature and creating culture based on Arirang : ecology and cultural geography of local folk songs 2021 / 지은이: 박경수 / 민속원
경기도의 토속민요 경기도의 토속민요 2013 /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 편 / 민속원
경기도의 토속민요 경기도의 토속민요 2013 /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 편 / 민속원
조선민요 아리랑  : 민족의 가락, 애환의 선율 조선민요 아리랑 : 민족의 가락, 애환의 선율 2012 / 윤수동 지음 / 국학자료원

같이 빌린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쉽게 배우는) 사물놀이 (쉽게 배우는) 사물놀이 2004 / 이형영 지음 / 학민사
이리농악 이리농악 2001 / 이소라 글 ; 정수미 사진 / 화산문화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국악교육의 지향과 민요의 교육적 활용 국악교육의 지향과 민요의 교육적 활용 2015 / 김혜정 지음 / 민속원
남도민속음악의 세계  : 서남해에서 영산강까지 남도민속음악의 세계 : 서남해에서 영산강까지 2012 / 지은이: 이윤선 / 민속원
도서민요의 공동체와 구비연행 도서민요의 공동체와 구비연행 2012 / 지은이: 홍순일 / 민속원
소리꾼  : 득음에 바치는 일생 소리꾼 : 득음에 바치는 일생 2011 / 최동현 지음 / 문학동네
한국문화와 그 너머의 아리랑  : 다양한 시각으로 바라본 아리랑 한국문화와 그 너머의 아리랑 : 다양한 시각으로 바라본 아리랑 2013 / 한국학중앙연구원 기획 ; 신대철 편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휘모리 잡가  :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20호 휘모리 잡가 :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20호 2011 / 글: 홍은주 ; 사진:석인철 / 인천광역시
아랫녘 수륙재  : 국가무형문화재 제127호 아랫녘 수륙재 : 국가무형문화재 제127호 2017 / 글:국립무형유산원 / 국립무형유산원
조선 지식인의 악 사상 조선 지식인의 악 사상 2017 / 지음: 한지훈 / 아카넷
Traditional music  : sounds in harmony with nature Traditional music : sounds in harmony with nature 2011 / Korea Foundation / Seoul Selection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0
40대0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0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