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우리민족의 대표적 가락인 아리랑과 아리랑문화를 알리는 개론서. 제1부 ‘아리랑이란 무엇인가’에서는 아리랑의 문화 표상, 미학, 정서, 한민족의 심상공간, 한의 풍류 등의 내용을 다뤘다. 제2부 ‘아리랑, 그 길고 긴 내력’에서는 아리랑에 의한 아리랑 읽기, 근대 민요 아리랑의 부각, 근대사 만화경, 아리랑 문화, 지속과 변용의 길, 본조아리랑 시대 등을 다룬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제1부 〈아리랑〉이란 무엇인가?
1. 〈아리랑〉, 한민족의 문화 표상
2. 받는소리,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3. 아리랑의 미학
⑴ 아리랑의 근대성
⑵ 아리랑의 악곡 구조
4. 아리랑의 정서
5. 아리랑 고개, 한민족의 심상공간
6. 〈아리랑〉의 문화 - ‘한(恨)’과 ‘풍류’
7. 〈아리랑〉, 세계의 노래, “쌀의 노래”
제2부 아리랑, 그 길고 긴 내력
1. 아리랑에 의한 아리랑 읽기
⑴ 아리랑, 아리랑문화의 개념
⑵ 아리랑의 발생과 그 배경
⑶ 전승 배경·기능을 담은 명칭
⑷ 정체성, 동일체의 인자, 후렴
⑸ 아리랑의 성격 변화
2. 근대민요 아리랑의 부각
⑴ 역사에의 의탁, ‘신성염곡 아리랑타령’
⑵ 화려한 헌사, ‘아리랑은 쌀’
⑶ 일제가 주목한 공시매체(公示媒體), 아리랑
3. 근대사의 만화경, 아리랑문화
⑴ 영화 〈아리랑〉, 주제가 〈아리랑〉의 탄생
⑵ 영화 〈아리랑〉의 줄거리
⑶ 나운규와 장송곡
⑷ ‘모든 노래는 아리랑으로 통한다’
⑸ 총독부의 황민화 정책, 〈非常時아리랑〉
⑹ 훼절 아리랑, 악극 〈아리랑〉
⑺ 아리랑문화운동
⑻ 동포사회에 각인된 디아스포라 아리랑
4. 지속과 변용의 길
⑴ 잡가집 소재 아리랑의 양상과 확산
⑵ 음반을 통한 확산
⑶ 방송에 의한 확산
⑷ 유행가집을 통한 확산
5. 본조아리랑 시대
⑴ 아리랑의 위상, 본조(本調)아리랑
⑵ 주제가 〈아리랑〉에서 본조아리랑으로
⑶ 1940년대 후반부터 사용
⑷ 본조는 대표(代表)라는 위상을 의미
제3부 아리랑의 분포와 그 양상
1. 아리랑의 종류와 지역적 분포
⑴ 하나이면서 여럿인 또는 같으면서 다른 아리랑
⑵ 아리랑의 지역적 분포
⑶ 북한에서의 민요와 아리랑 분류
⑷ 해외 동포사회
2. 각 지역 아리랑의 실상과 사연
⑴ 아리랑고개는 문경새재?
⑵ 서울의 아리랑과 서울아리랑
⑶ 삶의 소리, 천년의 노래 정선아라리
⑷ ‘아무나 잘 부를 수 없는’ 진도아리랑
⑸ 동시대성이 돋보이는 밀양아리랑
⑹ 북한의 아리랑
⑺ 아리랑, 통일을 지향하는 전승으로
제4부 여러 아리랑의 음악적 특징
1. 들어가며
2. 노래로서의 아리랑을 위한 민요의 일반적인 이해
⑴ 민요의 빠르기와 리듬적 특징을 나타내는 장단
⑵ 민요의 지역별 고유한 음악적 특징인 조(調)
⑶ 민요의 맛을 더욱 살리는 표현의 요소들
⑷ 민요를 부르는 방식
⑸ 신민요와 기보법
3. 여러 아리랑의 음악적 특징
⑴ 긴 아리랑
⑵ 아리랑
⑶ 밀양아리랑
⑷ 진도아리랑
⑸ 정선아리랑
⑹ 강원도아리랑
4. 맺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