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삼켜야 했던) 평화의 언어 : 병역거부가 말했던 것, 말하지 못했던 것
발행연도 - 2011 / 임재성 지음 / 그린비출판사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253648
-
ISBN
9788976827456
-
형태
367 p. 22 cm
-
한국십진분류
사회과학
>
국방, 군사학
>
군사행정
-
카테고리분류
사회과학
>
국방/군사/통일
>
국방/군사
책소개
2004년 겨울 양심적 병역거부를 선언하고, 감옥에 다녀온 후 대학원에 진학하여 평화학을 연구하면서 자신의 지식과 실천을 일치시키기 위해 노력해 온 저자 임재성. 그는 이 책에서 평화연구의 문제의식과 병역거부 당사자로서의 경험을 함께 녹여 냄으로써 대체복무제 도입 여부(소수자/인권 담론)에만 머물러 있는 한국 사회의 병역거부 논의를 ‘평화운동’의 지평으로 확장하고자 한다.
목차
추천사_ 십 년이 담긴 책 / 한홍구
책을 내며
서장 평화학의 방법론을 모색하며
1부 병역거부의 문턱
1장 고여 있는 논쟁, 대체복무제
여전히 필요한 ‘팸플릿’
병역거부란 무엇인가
알고 병역거부 했습니까
알고 보니 대체복무제 선진국
증오의 논쟁 넘어서기
2장 부끄러움을 알기 위한 역사
군국주의 일본이 직감했던 ‘위험’: 일제 시기
징병제 실시 만세: 정부 수립 이후부터 1960년까지
입영율 100% 사회: 박정희 정권부터 2000년까찌
병역거부가 가려져 왔던 이유
3장 병역거부, 운동이 되다
왜 2000년이었을까
운동이 피어날 수 있었던 조건들
‘여호와의 증인’이 아닌 병역거부자
피해자화된 병역거부자
4장 군사주의의 문턱에서
삼켜야 했던 말
‘양심의 자유’와 ‘반군사주의’
병역거부를 축하합니다
지연된 변화 속에서 틈새 찾기
2부 병역거부에 공감하기
5장 폭력에 대한 감수성, 마취되지 않는
죽어도 되는 사람은 누구인가
가해자로서의 기억
‘진짜 남자’ 되기를 거부하기
6장 병역거부자의 목소리
강경대가 죽고 나서 벗은 진압복
촛불시민들을 진압할 수 없습니다
나약함을 긍정하기
7장 ‘감히’ 징병제를 논하다
부재했던 저항의 언어
징병제 담론의 균열
안보의 벽을 허무는 활동들
8장 병역거부가 서 있는 곳, 그리고 가야 할 곳
대체복무, 그 이후
병역거부운동이 배제한 이들
평화운동으로서의 병역거부운동
군대 없는 세상
보론 세계의 병역거부와 평화운동
후기: 군대 문제
참고문헌
찾아보기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