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양고대미학사 강의 : 철학사로서의 미학사 이해를 위하여
발행연도 - 2010 / 김율 지음 / 한길사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244979
-
ISBN
9788935662258
-
형태
358 p. 20 cm
-
한국십진분류
철학
>
형이상학
>
존재론
-
카테고리분류
예술/대중문화
>
예술이론
>
예술론/미학
책소개
서울대 미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김율 교수가 ‘미학사’ 강의를 했던 내용을 책으로 엮은 것이다. 도대체 아름다움이란 무엇인가. 이 책은 인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피스트와 소크라테스,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플로티노스에 이르기까지 그들이 생각한 ‘아름다움’의 정의와 주요 논쟁 등을 총 6장에 걸쳐 정리하고 있다.
목차
미학사를 통해 미학의 본연으로·머리말
1 미학의 역사와 역사적 미학
학문을 규정하는 방식
미학의 대상은 무엇인가
미학사, 역사적 미학, 아름다움
2 미학의 시원: 경이라는 경험
경이의 전개과정
경이가 낳는 결과들
경이를 간직하며 경이에서 빠져나오기
시각적 드러남과 아름다움의 경험
3 소피스트와 소크라테스: 현상에서 개념으로
소크라테스의 정의 물음
정의 물음의 의미
배경과 맥락으로 본 소피스트의 역할
소피스트와 소크라테스의 미학사적 의미
4 플라톤: 아름다움의 이데아와 예술 비판
아름다움의 아포리나
히피아스의 대답
소크라테스의 가설적 대답
"아름다운 것은 어려운 것이다"
이데아로서의 아름다움
존재자 개념으로서의 이데아
사유되는 아름다움
영혼의 상승과 아름다움
영혼과 상기
아름다움은 어떤 이데아인가
조형 예술과 모방
기예의 개념과 분류
모방 기술의 가치 평가
모방 기술의 구제는 불가능한가
시와 감정
시의 본질은 무엇인가
시에 대한 도덕적 규제의 오류
감정효과의 비판
5 아리스토텔레스: 기예와 즐거움
아름다움의 개념
기예의 개념
생성의 인과성과 기예
탁월성의 체계와 기예
『시학』: 행위의 모방, 뮈토스
『시학』: 카타르시스
즐거움의 문제
즐거움과 좋음의 관계
즐거움의 종류들
삶의 참된 낙樂을 찾아서
6 플로티노스: 좋음의 빛
감각적 아름다움에 대한 물음
비례 이론의 검토
감각적 아름다움의 원인: 형상
영혼의 아름다움에 대한 물음
아름다움 자체인 정신
기예의 유비
아름다움으로서의 형상
『파이드로스』의 모티브
아름다움을 넘어선 아름다움
'하나'의 형이상학
출현의 맥락: 파르메니데스와 플라톤
좋음은 '하나'다
그리움과 아름다움
고대미학의 맥락과 특징·맺음말
세 철인의 역할
이성에 대한 신뢰와 초월의 욕구
참고문헌
찾아보기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1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1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